![]() | ||
![]() | ||
![]() | ||
▲ 오미자의 현란한 색깔에 일단 주눅이 들고 상큼한 맛에 입맛이 변한다. 잣 이 마치 바다 위의 돗단배 처럼 여유롭다. | ||
![]() |
![]() | ||
![]() | ||
![]() | ||
![]() |
우리차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더 좋겠다. 커피 등이 외제차이니 말이다. 우리차 가운데 오미자 차는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겨울 보다는 여름에 마셔야 제맛이 나는 이유다.
![]() | ||
![]() | ||
![]() | ||
![]() |
인심 좋은 여주인은 뜨거운 오미자를 주문하자 싫지 않은 면박을 준다. 고집 부리지 않고 말을 따른 것이 후회되지 않을 만큼 말 그대로 맛이 쿨하다.
![]() | ||
![]() | ||
![]() | ||
![]() |
실내도 우리 옛것으로 장식한 것을 보니 안목이 느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주 메뉴보다도 부 메뉴가 더 화려하다.
![]() | ||
![]() | ||
![]() | ||
![]() |
살구씨 잣 포도 한과 호박씨 은행 등이 따라 나왔다. 미안할 정도였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