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6023건)
사렙타는 FDA에 듀센 근이영양증 치료제 엘레비디스의 적응증 확대 및 완전 승인을 위한 효능 보완자료를 제출했다.
아이오반스의 암타그비는 진행성 흑색종 환자의 T세포를 채취한 뒤 공정을 거쳐 다시 주입하는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제다.
듀피젠트는 일본에서 5번째 적응증인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추가 승인됐다.
▲ 아스텔라스와 켈로니아는 양사의 기술을 결합해 혁신적인 기성품 형태의 범용 체내 CAR-T세포 치료제 신약을 개발하기로 했다.
오노약품은 누맙의 다중 특이성 항체 항암제 후보물질 NM49를 개발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독점 옵션권을 확보했다.
BMS는 오그티로가 NTRK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에게 새로운 차세대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FDA는 폐동맥 고혈압에 승인된 약물인 일로프로스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을 중증 동상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 로슈는 합성 치사를 유도할 수 있는 정밀 치료제 후보물질 카몬세르티브를 리페어 테라퓨틱스에 반환하기로 했다.
췌장암 치료제 오니바이드 기반의 병용요법 NALIRIFOX은 임상 3상 시험에서 기존에 승인된 요법보다 생존기간을 연장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버텍스는 크리스퍼 테라퓨틱스와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유전자 편집 치료제 카스게비를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 판매 허가받았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리아타 파마슈티컬스를 인수하면서 획득한 희귀질환 치료제를 유럽에서 허가받았다.
다케다는 이오힐리아를 사용한 12주 치료가 11세 이상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의 상당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