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6023건)
화이자는 미국에서 기성품 형태의 피하 투여하는 BRCA-CD3 표적 이중특이항체 신약 엘렉스피오의 승인을 획득했다.
▲ 크레셈바는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 또는 침습성 털곰팡이증에 직면한 소아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얀센은 PARP 억제제와 안드로겐 생합성 저해제를 복합한 이중작용 정제 아키가를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 허가 받았다.
▲ 바이엘과 리제네론은 전 세계에서 안질환 치료제 아일리아의 투여 간격을 12주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는 고용량 제형의 허가를 신청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과 비만 치료제 위고비에 대한 높은 수요에 힘입어 강력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얀센의 탈베이는 이전 치료 경험이 많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의 치료를 위해 GPRC5D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이중특이항체 신약이다.
노보 노디스크는 비만, 당뇨병, 기타 심각한 대사질환을 앓는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인버사고 파마를 10억 달러 이상에 인수하기로 했다.
리제네론은 난청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2017년부터 협력해 온 파트너사인 데시벨을 최대 2억13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릴리는 강력한 실적 성장세를 반영해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다.
▲ 노바티스는 경구용 BTK 억제제 레미브루티닙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에 대한 동종계열 최초의 경구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MSD는 아스텍스와 협력해 종양 억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조절제를 발굴하고 개발할 계획이다.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는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의 심장 건강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