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51 (토)
서울시보라매병원 ‘암 정복을 위한 도약의 한 해’ 선언 外
상태바
서울시보라매병원 ‘암 정복을 위한 도약의 한 해’ 선언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4.02.05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보라매병원 ‘암 정복을 위한 도약의 한 해’ 선언

▲ 이재협 원장.
▲ 이재협 원장.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이재협)이 지난 2월 4일 세계 암의 날을 기념하며 올해를 보라매병원의 ‘암 정복을 위한 도약의 한 해’로 삼고 다양한 암 특화 사업 진행을 위한 포부를 밝혔다.

통계청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주요 지표에 따르면 국가 암 검진의 수검률은 2010년 전체 수검자 대비 35.7%에서 2022년 54.9%로 1.5배 이상 증가했으며 암 환자의 5대 상대 생존율은 2021년 기준 72.1%로 10년 사이 6.6%P 증가한 바 있다.

기대수명 증가와 암을 야기하는 외부 요인이 다양해지면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 암 조기 검진의 활성화로 조기 발견이 가능해지고 치료 예후가 개선되면서 암 진단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보라매병원은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진의 우수한 의료 역량과 상급종합병원 수준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난 2020년 3월 암센터를 개소, 소외계층을 위한 다빈도 암 질환 진료에 매진하고 있다.

이재협 병원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하여 “2024년을 ‘중증 질환과 암 정복을 위한 새로운 도약의 원년’으로 삼을 것“으로 선포하며, 이전까지 착실하게 암 정복을 위한 성장 기반을 다졌다면, 올해는 양질의 암 관련 건강정보 제공과 사업 진행으로 지역사회는 물론 서울시민에게도 보라매병원의 우수한 암 진료 역량을 각인시킬 예정이다.

이를 위해 ‘암 정복 원년의 해’를 기치로 △암을 주제로 특화된 원내 건강강좌 진행 △유튜브를 통한 중증질환 중심의 암 관련 정보 제공 △암 칼럼 시리즈 게재 △온오프라인 소식지를 통한 암 관련 시리즈 게재 △암센터 홈페이지 개선을 통해 고품질의 암 관련 건강정보를 지역사회 주민을 비롯한 서울시민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보라매병원은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지역 주민 대상으로 ‘원내 건강강좌’를 진행하여 암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예방법과 치료법을 다룰 예정이다.

아울러 보라매병원은 지역주민뿐 아니라 대국민 대상으로 올바른 암 예방과 치료법을 알리고자 노력할 예정이다. 

보라매병원 유튜브 채널인 ‘서울대 보라매병원’을 통해 건강강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암 관련 콘텐츠를 증편·확대하고 건강강좌 내용을 기반으로 한 칼럼 시리즈를 기획ㆍ배포해 양질의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한다.

또한 암센터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접근성과 편의성 증대를 위해 암센터 홈페이지의 사용성 개선과 콘텐츠 확충에도 주력한다. 

복지관ㆍ보건소 방문객을 대상으로 배포하는 보라매병원 소식지에도 암센터 소개와 주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지난해 핵의학과 내 PET-C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기)를 교체 도입하고 연중으로 방사선종양학과 내 선형가속기 설치와 로봇수술 활성화를 위한 전용 수술실 신설 등 정밀한 암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인프라 확충에도 힘쓴다.

이재협 병원장은 “우리 병원의 우수한 의료역량을 토대로 올해는 암 정복을 위한 의미 있는 도약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 공공의료와 더불어 암 치료 분야에서도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전립선암 진단, 전립선건강지수로 MRIㆍ조직검사 줄인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한양대 구리병원 비뇨의학과 송병도 교수)이 PSA(전립선특이항원) 수치가 4~10ng/mL인 환자에서 전립선건강지수(PHI)를 활용하면 불필요한 MRI를 최대 20.1%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전 세계 남성 발병률 2위, 암 사망원인 5위인 전립선암은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인해 다른 암에 비해 발병 증가율이 높은 편이다. 

다행히 다른 장기로 전이와 합병증이 없이 전립선암만 있으면 생존율 100%에 가까운 암이기도 하다. 

이는 ‘전립선 특이항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을 활용한 조기진단 덕분인데, 일반적으로 PSA가 4ng/mL 이상이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PSA 진단 회색지대로 불리는 4~10ng/mL의 범위에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해도 양성 진단율이 22% 정도에 불과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율이 높은 편이다. 

조직검사는 경직장 초음파를 활용해 전립선에 바늘을 찌르는 침습적 검사로 출혈, 통증, 감염 등 합병증 위험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이를 피하기 위해 조직검사 전 MRI를 시행하는데 회당 비용이 100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검사로 회색지대 환자 모두에게 시행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실정이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PSA 수치가 4~10ng/mL인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표 설정을 위해 PHI(Prostat Health Index, 전립선건강지수)와 PSAD(PSA를 전립선 크기로 나눈 값, PSA 밀도)를 활용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팀은 2019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PHI 검사와 MRI를 모두 받은 전립선암 회색지대(PSA 4~10ng/mL) 환자 443명의 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PSA 그레이존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주요한 전립선 암을 예측하기 위한 PHI와 PSAD의 최적 컷오프 값은 각각 39.6, 0.12ng/mL²임을 확인했으며 각각의 바이오마커가 상당한 비율(28.7%~31.8%)로 불필요한 MRI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PHI 또는 PSAD를 단독 바이오마커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전립선암의 진단을 놓칠 확률이 각각 13.6%, 14.8%에 달했다. 

반면 PHI와 PSAD를 조합해 진단에 활용할 경우 MRI 사용은 최대 20.1% 줄이면서도 전립선암 진단 누락은 6.2%에 그치는 것을 확인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PSA 수치가 그레이존에 포함되는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기 위해 PHI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며 “PHI 외에도 다양한 혈청 및 소변 검체를 기반으로 하는 전립선암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송병도 교수는 “PHI가 회색지대 환자를 대상으로 전립선암 진단 정확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는 기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며 “PHI와 PSAD를 병용하여 진단하면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는 세계적인 비뇨의학 학술지이자 SCIE인 ‘비뇨세계학술지(WORLD JOURNAL OF UROLOGY)’에 게재됐다.

 

◇췌장암 항암제 내성 발생 기전 규명

▲ (왼쪽부터) 임가람 교수, 방승민 교수, 강창무 교수, 김성룡 학생, 박종은 교수
▲ (왼쪽부터) 임가람 교수, 방승민 교수, 강창무 교수, 김성룡 학생, 박종은 교수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가람, 방승민,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이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규명했다. 췌장암 신약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란 평가다.
 연구 결과는 영국 유전학 학술지 게놈 메디슨(Genome Medicine, IF 12.3) 최신 호에 게재됐다.

 현재 췌장암은 대부분 약물로 치료한다. 환자의 90% 가까이가 수술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병기에서 진단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폴피리녹스, 젬시타빈, 아브락산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데, 평균 6개월 이내에 약제에 대한 조기 내성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위암 등 다른 난치성 암의 5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음에도 췌장암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이유다.

 따라서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성 발생 과정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두고 췌장암 세포 중 약물에 저항성이 없는 세포는 사멸하고, 저항성을 가진 세포만 살아남아 암을 진행 시킨다는 ‘잔류 이론’과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성을 가지게 진화한다는 ‘전이 이론’이 있다.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연구를 통해 제시된 근거는 없었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7월 사이에 수술을 받은 췌장암 환자 17명의 수술 조직을 활용해 면역, 종양 등 세포 변이의 특성을 알아내는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췌장암 세포는 항암 약물 처리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전이 이론’의 근거를 확인했다.

 이에 더해 기존에 알려진 전이 이론 타입의 세포 외에도 서로 다른 생물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항암제 저항성을 일으키는 타입의 세포 종류 5가지 Basal-like, Classical, EMT-related, Transitional, Ductal-associated 등을 추가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 개발을 통해 췌장암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임가람 교수는 “췌장암에 항암제를 처리한 후 조기 내성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며 “항암제 투여에 따른 저항성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천성모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인증 획득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병원장 김희열)이 보건복지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으로부터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평가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IRB 평가 인증은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윤리적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기관의 질향상을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국가생명윤리정책원에 위탁해 시행하는 인증제도로, 부천성모병원은 이번 인증으로 연구 대상자 보호 및 연구 전 과정에서 국내외 기준에 부합하는 역량을 가진 의료기관으로 인정받았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금번 평가 인증으로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의 주관 연구기관 신청 시 가점(0.5점)을 받을 수 있다.

IRB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구 및 활동 관련 연구 대상자의 생명윤리와 안전 확보를 위해 연구의 윤리적, 법적, 과학적 타당성을 자율적ㆍ독립적으로 심의하는 기구로, 부천성모병원은 1996년 위원회를 개설한 이래 2010년부터 세계적 임상연구 대상자 보호프로그램 인증기관인 AAHRPP 국제인증을 받으며 국제적 기준의 임상연구 윤리시스템을 갖추고 활발히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부천성모병원 IRB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찬석 교수(순환기내과)는 “2023년 6월 AAHRPP 4차 전면 재인증 획득과 더불어 올해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인증까지 획득함으로써 부천성모병원이 더욱 활발히 연구 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한 연구윤리사무국장 표성운 교수(구강악안면외과)는 “임상시험 연구에 있어 의료기관과 연구진이 연구 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며 체계적인 시스템 하에서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IRB 평가 인증은 2026년 11월 29일까지 3년간 유효하다.

 

◇서울아산병원, ESG 경영 확대
국내 종합병원 중 처음으로 ESG 위원회를 발족해 친환경ㆍ사회적 책임ㆍ투명 경영 방안을 모색해 온 서울아산병원이 병원 운영 전반에 ESG 경영을 실질적으로 확대해가고 있다.

서울아산병원(병원장 박승일)은 지난 2021년 ESG 위원회 출범 이래 단계별 ESG 경영 전략을 수립해왔으며, 의료 폐기물 및 탄소 배출 절감, 지역사회 교류 강화, 조직문화 개선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ESG 활동을 실천해가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 ESG 위원회는 지속 가능하고 추진력 있는 ESG 경영을 위해 K-ESG 가이드라인과 KH-ESG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3가지 목표(친환경 · 사회적 책임 · 투명 경영)와 23개의 지표를 수립했다.

친환경 경영 측면에서는 폐기물 및 탄소 배출 감소를 중점 과제로 선정했으며, 작년 한 해 동안 △찾아가는 폐기물 교육 △일회용 재료 및 액체류 분리수거 확대 △‘아산 그린(에너지 절약)’ 캠페인 실시 △인버터 설비 · 보일러 · 냉방기 개선 활동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의료 폐기물 관련 총 비용은 2023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4.9% 감소했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약 3.6% 감소한 효과를 거뒀다.

이외에도 서울시에서 진행하는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와 ‘건물 ESG’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전력 사용 측정기를 설치해 2026년 5월까지 병원의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표준 배출 기준을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사회적 책임 경영에도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강동구 복지센터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을 시행했으며, 33명의 비만 아동을 추려 올해부터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계해 경제 및 의료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장기간의 시간과 인력, 비용이 소요되지만, 아동이 건강히 성장해 어엿한 사회 구성원이 되도록 도울 수 있어 더 큰 선순환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투명 경영 측면에서는 업무 효율성 강화, 위험 관리, 조직 문화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구성원들의 윤리 의식 강화를 위해 예방 중심으로 감사 업무 방향을 설정했으며 정기 및 상시 윤리 강령 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ESG라는 새로운 경영 개념이 도입되기 전부터 34년의 역사 자체가 ESG 활동이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는 가치로 설립된 아산사회복지재단 산하 병원으로서 1989년 개원한 이래 다른 3차 종합병원에서 치료를 포기한 중증 환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4차 병원’으로서의 역할을 다해왔다.

최근 10년간은 미국, 독일,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90여 개 국가의 3천 7백여 명이 넘는 해외 의학자에게 최신 의료 기술을 전수했다. 

몽골, 베트남 등 아시아 의료 저개발 국가에 생체 간이식과 같은 고난도 의료기술을 전수하는 ‘아산 인 아시아’ 프로젝트도 계속 이어오고 있다.

또한 올바른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해 건전한 의료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1995년 국내 최초로 진료의뢰협력센터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아산병원은 사회공헌, 환경친화경영, 기업신뢰도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작년 3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병원’에 17년 연속 선정됐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세계 최고 병원’ 평가에서도 5년 연속 국내 1위로 선정됐다.

서울아산병원을 운영하는 아산사회복지재단은 1977년 설립된 이래 지금까지 △저소득 환자 의료비 지원 등의 의료복지사업 △지역사회 취약계층 긴급 생계비 지원 등의 사회복지 지원사업 △저소득 대학생의 학업을 지원하는 장학사업 △사회 발전에 필요한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학술연구 지원사업 △봉사와 나눔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아산상 △기초ㆍ임상 의학 분야의 의과학자를 시상하는 아산의학상 등 우리 사회의 발전과 복지 증진에 힘써왔다.

서울아산병원 이제환 ESG 위원장(진료부원장)은 “‘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는 아산재단 설립 이념을 실천해 온 서울아산병원은 보다 수준 높은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해 병원 운영 전반에 ESG 경영을 안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성인 1형당뇨, 소아보다 사회적 낙인 더 심각
1형당뇨가 어린이에게만 발병하는 ‘소아당뇨’로 잘못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성인 1형당뇨인의 사회적 낙인(stigma)이 청소년보다 더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헬스케어 전문 PR회사 엔자임헬스 김동석 대표는 ‘질병의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과 환자 역할 행동에 미치는 영향(지도교수 서강대학교 유현재 교수)’이라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성인과 청소년 1형당뇨인 총 26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을 결정짓는 세 가지 요소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정체성 문제’(성인: 3.58, 청소년: 3.07), ‘비난과 판단’(성인: 3.50, 청소년: 2.61), ‘차별 대우’(성인: 2.42, 청소년: 1.83) 등 모든 항목에서 성인 1형당뇨인이 청소년보다 사회적 낙인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성인1형당뇨인은 ‘정체성 문제’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1형당뇨인이라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부담감과 두려움을 의미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설명이다. 

이 같은 인식은 환자로 하여금 1형당뇨라는 사실을 타인에게 숨기거나 공공장소에서 혈당을 체크하고 인슐린 주사를 맞는 행동을 꺼리게 만들어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는 것.

엔자임헬스 김동석 대표는 “1형당뇨는 전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는 만성질환임에도 소아당뇨로 잘못 불리는 등 성인 1형당뇨인은 사회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성인 1형당뇨인이 직장 등 사회생활에서 자신의 질병에 대해 공개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가족 지지(성인: 4.16, 청소년: 4.5), 친구 지지(성인: 3.74, 청소년: 3.76), 의료진/동료 환자 지지(성인: 3.38, 청소년: 3.29) 등 청소년, 성인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 1형당뇨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당뇨의 자가 관리 등 건강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성인 1형당뇨인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사회적 지지에는 긍정적 지지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주는 ‘문제적 지지’도 존재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과도한 연락 및 정서 표현’, ‘불필요한 조언’, ‘비현실적 정보’, ‘통제를 시도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도움’ 등과 같은 문제적 지지는 그 선의와 관계없이 때로는 환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에 있어서는 질병 및 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지의 질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김 대표의 설명이다.

또한 성인 1형당뇨인은 자신들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낙인에 대해 도전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대처하기 보다는 ‘긍정적 수용’이라는 수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해당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건강 행동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동석 대표는 “1형당뇨인들이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1형당뇨가 소아당뇨라는 잘못된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함께 중증난치질환으로 인정받는 등 정교하고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1형당뇨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 기능을 상실할 때 발병한다. 1형당뇨는 췌장을 이식하지 않는 한 완치되지 않으므로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며, 적절한 자가 관리를 하지 못할 경우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1형당뇨인은 약 5만~6만여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 졸업 논문으로 제출되어 지난해 12월 최종 인준됐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공식 지정 병원 임무 완수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공식 지정 병원으로서 임무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이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공식 지정 병원으로서 임무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의료원장 백순구)이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공식 지정 병원으로서 임무를 완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개최되는 동계청소년올림픽 대회로, 70여 개국 2,900여 명이 참가했고 50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1월 13일부터 2월 2일까지 본원에는 '올림픽 병원'을, 강릉 선수촌에는 '메디컬 센터'를 운영하며 청소년 올림픽 선수, 관계자, 관중 등 약 1000명을 치료했다.

1월 12일 외래센터 로비에서는 ‘올림픽 의료지원단 출정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올림픽 의료지원단이 참석해 ▲박일환 의료책임자(권역외상센터장)의 출정보고, ▲고대현 의료지원단 대표(응급구조사)의 선서, ▲어영 부원장의 격려사 등의 순서로 진행했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본원 올림픽 병원에 선수 전용 병상과 치료 공간을 마련했으며 응급 처치ㆍ접수ㆍ진료 등 전 과정을 약 1시간 내로 빠르게 완수할 수 있는 시스템인 ‘Fast Track’을 구축했다.

또한 강릉 선수촌 내부에는 24시간 이용 가능한 응급 의료시설인 '메디컬 센터'를 마련, 1월 15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메디컬 센터에는 박일환 의료책임자를 비롯해 가정의학과, 외과, 응급의학과, 정형외과 등 다양한 진료과로 구성된 의사 및 간호사, 응급구조사, 약사, 물리치료사 등 약 60명의 의료지원단을 파견했다.

메디컬 센터는 선수 주거지역 내에 위치했으며, 내부에는 응급처치실, 외래진료실, 약국, 물리치료실 등을 갖추어 올림픽 기간 중 상시 운영했다.

백순구 의료원장은 "장래가 유망한 청소년 선수들이 안전이 대비된 환경에서 부상에 대한 걱정 없이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신 모든 의료지원단과 관계자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은 지난 2018년에도 평창올림픽 공식 병원으로서 활약했으며 지난해에는 제3기 IOC리서치센터로 재지정 되는 등 전 세계 국가대표선수단을 대상으로 진단ㆍ수술ㆍ치료 등의 의료서비스 제공 및 운동의학 연구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모바일접근성 및 웹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획득
삼성서울병원은 국내 상급종합병원 가운데 처음으로 모바일접근성과 웹접근성 품질인증 마크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두 인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웹서비스 제공자가 장애인과 고령자 분들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모바일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과 ‘지능정보화기본법’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한다.

삼성서울병원은 고객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시스템에 대한 인증 평가에서 모바일앱접근성지침(MACAG2.0) 의 18개 심사 항목과 한국형웹 콘텐츠지침 (KWCAG2.1)의 24개 심사 항목을 모두 통과했다.

이번 인증은 디지털 ESG가치 실현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2021년 ESG 위원회를 발족하고, 2023년 ESG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병원계 ESG 경영을 선도해왔다.

이번 인증 결과로 고령자와 장애인들이 병원의 모바일 채널에 보다 손쉽게 접근해 필요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병원측은 기대하고 있다,

이풍렬 디지털혁신추진단장은 “고령층이 많은 병원 이용 환자들을 배려하고, 모바일앱과 웹에서 사용자 경험을 확대해 온 결과”라며 “병원이 추구하는 미래의료에 한발 더 다가서는 한편 디지털 측면에서도 사회적 역할을 고려한 의미를 다시 한 번 새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성모병원, 좌심실 보조장치 제조사와 협력 강화 방안 모색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이 중증 심부전 환자에게 최신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일 좌심실 보조장치(LVAD) 제조사와 간담회를 갖고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이 중증 심부전 환자에게 최신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일 좌심실 보조장치(LVAD) 제조사와 간담회를 갖고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이 중증 심부전 환자에게 최신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일 좌심실 보조장치(LVAD) 제조사와 간담회를 갖고 협력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행사에는 심뇌혈관병원장 장기육 교수, 순환기내과 윤종찬, 정미향 교수, 심장혈관흉부외과 김용한 교수를 비롯해 애보트사 Keith Boettiger 대표(Abbott Heart Failure President, Global), Brian Huang 아시아대표(Abbott Heart Failure General Manager, Asia), 애보트메디칼코리아 박상진 사장 등이 참석했다.

   심뇌혈관병원은 지난 2021년 7월 가장 최신의 인공 심장인 좌심실 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수술을 시작한 이래, 누적 건수 22건의 실적과 함께 모범적인 환자 관리 프로세스를 인정받아 애보트(Abbott)사로부터 하트메이트3 우수센터로 지정됐으며, 지난 9월 12일 ‘하트메이트(HeartMate3) 좌심실 보조장치 우수센터’ 현판식을 개최한 바 있다. 

   하트메이트3 LVAD는 중증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의 좌심실 기능을 돕는 펌프를 삽입해 전신에 피를 공급하도록 도와주는 좌심실 보조장치로 애보트사의 LVAD 최신 기종이다.

   심뇌혈관병원장 장기육 교수를 비롯한 심부전 LVAD 다학제팀은 본관 심혈관촬영실에서 애보트사 방문단을 만나 심장과 심혈관질환 전반의 치료 및 회복 과정에 대해 설명하며, 본원 심부전 LVAD 다학제팀을 소개했다.

 심부전 LVAD 다학제팀은 순환기내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의료진을 중심으로 신경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등 여러 임상과가 모여 정기적인 협진과 회의를 통해 중증 심부전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찾고 LVAD 수술 이후 안정기에 접어드는 시기까지 단계적인 맞춤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윤종찬 교수는 “가장 최근의 좌심실보조장치(LVAD)인 하트메이트 3는 최근 발표된 5년 추적 관찰 결과 매우 우수한 치료 성적을 보여 주었고 심장이식을 대기하고 있는 환자에서의 가교 치료(Bridge to Transplant)로서 뿐만 아니라 심장이식이 어려운 중증 심부전 환자에서 궁극적인 최종 치료(Destination Therapy)로서도 중요하게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전했다.

 

◇급성 뇌경색 소방대원, 골든타임 지켜 건강 회복
평소 건강하던 40대 소방대원이 운동하던 중 뇌경색이 발생했으나 빠른 신고와 치료로 5일 만에 건강하게 퇴원한 사연이 전해졌다.

소방대원 A씨(46)는 지난달 18일 오후 평소와 다름없이 체력단련을 위해 수영을 하고 있었다. 

A씨는 수영 도중 갑자기 심한 어지럼증과 전신에 경련이 일어나고 발음이 어눌해지는 등 건강에 이상 반응이 나타났다. 

당시 수영장에 함께 있던 사람들의 도움으로 119에 신고됐으며, 신고 후 18분 만에 A씨는 의정부을지대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 

MRI 등 검사 결과, A씨는 수영 도중 우측추골동맥이 찢어지면서 오른쪽 소뇌에 급성 뇌경색이 나타난 것이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신경과 이동환 교수는 “이 환자의 경우 다행히 대낮에 여러 사람이 있는 장소에서 증상이 나타난 덕분에 골든타임(4.5시간) 내에 병원으로 빨리 이송됐다”며 “당시 환자의 상태는 혈전용해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경미한 수준의 뇌경색 증상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날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A씨는 경과가 좋아 하루 뒤 일반 병실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며 지난달 23일 퇴원했다.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갑작스런 발음 장애와 편측마비, 시야 장애, 어지럼증, 심한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나면 (뇌경색을) 의심해봐야 한다. 

뇌경색의 골든타임은 4.5시간. 이는 뇌조직이 괴사하기 전 정맥내혈전용해제를 투여해 치료할 수 있는 시간이다. 

자칫 골든타임을 넘겼더라도 동맥내혈전제거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할 수 있지만, 초기 치료가 늦어진다면 마비가 남거나 삼킴장애 등의 후유장애로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주고 뇌 손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사망까지 이르게 될 수도 있다.

이동환 교수는 “특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부정맥 등을 갖고 있다면 조심해야 하고 뇌혈관질환은 젊은 나이라고 해도 안심해서는 안된다”며 “뇌혈관 질환의 전조증상인 편마비, 안면마비, 발음 장애, 심한 두통을 반드시 기억하고 의심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지체없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생명을 살리는 영웅 소방대원의 뇌경색 극복기’ 유튜브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9PkQrMdnFmY)은 ‘을지TV’를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식약처 인증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

▲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RI신약센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되어 5일 현판식을 가졌다.
▲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RI신약센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되어 5일 현판식을 가졌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이진경) 국가RI신약센터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지정되어 5일 현판식을 가졌다.

우수동물실험시설(KELAF, Korea Excellent Laboratoy Animal Facility) 인증은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관하여 동물실험의 윤리성 및 신뢰성을 평가하고 지정하는 제도이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 등록 동물실험시설 511곳 중 우수동물실험시설은 27곳 뿐이다.  

국가RI신약센터는 동물실험 윤리인 대체(Replacement), 감소(Reduction), 개선(Refinement)의 3R 원칙 준수 및 실험동물 전문 수의사를 포함한 전담 인력·시설·운영 등 모든 조건을 갖추어 우수동물실험시설로 선정됐다. 

국가RI신약센터 동물실험시설은 2019년에 구축되어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신약개발 지원에 필요한 안전성·유효성 평가 지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임상시험계획승인(Investigational New Drug, IND)을 위한 비임상 시험서비스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신약 후보물질의 독성 평가 지원을 위한 설치류 단회투여 독성시험 GLP(Good Laboratory Practice, 비임상시험관리기준) 기관 인증을 획득하고, 원활한 소동물 생체영상평가 지원을 위한 외부 동물 반입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동물실험시설 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이진경 원장은 “이번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은 신약개발 지원 과정 중 비임상시험의 품질을 꾸준히 높여 온 성과를 인정받은 것”이라며 “우수한 비임상 시험자료 제공으로 신뢰도 높은 신약개발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신약기술 개발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 보훈가족 따뜻한 명절 나기 후원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는 지난 2일(금)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서울북부보훈지청과 경기북부보훈지청에 명절 선물세트(견과류 세트)를 전달했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는 지난 2일(금)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서울북부보훈지청과 경기북부보훈지청에 명절 선물세트(견과류 세트)를 전달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동부지부(본부장 이미화)는 지난 2월 2일(금)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의 따뜻한 겨울나기를 위해 서울북부보훈지청과 경기북부보훈지청에 명절 선물세트(견과류 세트)를 전달했다.

‘따뜻한 겨울나기’ 보훈가족 후원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가유공자에게 설 명절맞이 물품을 전달하는 사업이다. 

한국건강관리협회는 국가수호를 위해 희생한 호국영웅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해 2017년부터 매년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한국건강관리협회 17개 지부가 각 지방보훈(지)청에 명절 선물세트 289개를 전달했다.

건협 서울동부지부 이미화 본부장은 “국가유공자 및 보훈 가족이 따뜻한 설 명절을 보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건협 서울 동부는 보훈가족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건협 서울동부지부는 2002년부터 현재까지 총 23년간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에게 건강검진을 지원, 고령의 유공자 및 가족들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등 꾸준한 예우 활동으로 ‘일류 보훈 실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범석학술장학재단, 범석사 수상자에 오도연ㆍ장진영 교수 선정
범석학술장학재단(이사장 박준숙)이 국내 보건ㆍ의료분야 발전에 공헌한 인사에게 수여하는 제27회 범석상 수상자로 서울대 오도연 교수(범석 논문상)와 서울대 장진영 교수(범석 의학상)를 선정했다. 

보건ㆍ의료 관련 우수 논문을 발표한 공로로 범석 논문상을 수상한 오도연 교수는 진행성 담도암에서 생존 기간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면역항암제를 이용해 ‘세포독성항암제와 면역항암제의 복합요법’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고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 

담도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지 않은 암으로, 효과적인 항암치료약제가 제한적이어서 전체 생존 기간이 1년 미만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심사위원회는 “진행성 담도암의 생존 기간을 향상시키는데 10여 년 만에 첫 성공을 보인 임상연구로, 전 세계 담도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표준치료를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보건·의료분야에서 학술·사회봉사적으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사ㆍ단체에 주어지는 범석 의학상의 수상자 장진영 교수는 췌장, 담도계 암 분야를 전공하면서 수술뿐만 아니라 여러 임상과 중개연구 등에 탁월한 업적을 이루어 왔다. 

장 교수는 특히 수술 난이도가 높은 췌장, 담도 수술에서 로봇/복강경 하이브리드 수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으며, 국내외에서 가장 많은 증례에 해당하는 1000례 이상의 로봇 췌장, 담도 수술을 시행해 간담체외과계 분야의 선구자로서 수많은 연구업적을 쌓은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6일 오후 2시 30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행정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릴 시상식에서 수상자들에게는 상장과 상금 각 2000만 원이 수여될 예정이다.

박준숙 범석학술장학재단 이사장은 ”밤낮없이 연구에 매진하며 의학발전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해온 연구자들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은 의료선진국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범석학술장학재단은 의학발전을 위해 우수 연구자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범석학술장학재단은 지난 1997년 을지재단 설립자 故 범석 박영하 박사가 학계와 의료계에 기여한 업적을 기리고 기업이윤의 사회환원이라는 평소의 신념에 따라 설립한 공익법인이다.

인재양성을 위해 매년 장학생을 선발해 범석장학금을 지급하고, 범석학술 연구비 지원사업 및 범석상을 통해 의학발전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우수 연구자를 발굴해 국내외 학술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