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01 (토)
코로나 의료현장 위기, 중환자실ㆍ응급체계 차례로 붕괴
상태바
코로나 의료현장 위기, 중환자실ㆍ응급체계 차례로 붕괴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1.12.10 0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 단체들 한 목소리로 어려움 호소...의협, 응급실ㆍ중환자실 파악 중
▲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으로 7000명을 넘기고, 위중증환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의료현장의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 위중증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에 여유가 없으며, 응급이송체계를 제대로 마련해놓지 않아, ‘생지옥’을 방불케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으로 7000명을 넘기고, 위중증환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의료현장의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 위중증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에 여유가 없으며, 응급이송체계를 제대로 마련해놓지 않아, ‘생지옥’을 방불케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수가 이틀 연속으로 7000명을 넘기고, 위중증환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의료현장의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다. 위중증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에 여유가 없으며, 응급이송체계를 제대로 마련해놓지 않아, ‘생지옥’을 방불케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정부에 따르면, 12월 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총 7102명으로 전일과 같은 7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위중증 환자는 857명이고, 어제 신규 사망자는 57명이다.

급격히 늘어난 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환자로 인해 가장 먼저 비명을 지른 곳은 응급실이었다. 

지난 3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응급의료현안과 응급의료의 미래를 위한 긴급기자회견’을 통해 어려운 응급실 상황을 전하며, ▲정부와 응급의료협의체 구성 ▲코로나19 확진환자의 병원 배정 및 이송 위한 TFT 구성 ▲재택치료 시 발생할 응급상황에 대한 사전 논의 ▲감염대응체계 마련 위한 인력, 시설 지원 확대 ▲응급의료현장 필수의료인력 처우 및 환경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이전에도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는 이미 포화상태로, 부족한 응급의료자원과 열악한 환경 속에 응급환자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코로나19 상황에서 하루에 수차례 방호복을 입어가며 다른 응급환자가 피해보지 않을까 노심초사했고, 본인이 감염돼 환자가 되기도 하는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불가피한 접촉으로 수도 없이 격리 당하고, 검사의 불편함을 감수하며 응급의료현장을 지켜왔지만 현재 코로나19 감염자 폭증과 늘어나는 위중증 환자로 응급의료체계는 한계를 넘었고, 이젠 붕괴를 염려해야 한다는 게 이 회장의 설명이다.

이 회장은 “중환자실과 입원실이 부족해 상급병원의 진료를 받아야 하는 중증환자들은 이송 자체가 불가능하고, 심폐소생술 환자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재택치료 중인 코로나19 확진자가 상태가 나빠지면 제대로 된 응급처리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위로나 격려가 아닌, 눈앞의 위기를 극복할 실질적인 대책과 적극적인 노력이다. 정책당국과 책임기관의 성실하고 구체적인 답변과 참여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응급실의 어려운 상황을 피부로 느끼고 있는 전공의들도 목소리를 보탰다. 지난 9일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여한솔)도 ‘코로나19 현장 상황 개선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생지옥으로 변한 응급실 상황과 함께, ‘위드 코로나’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대전협에 따르면, 병원에서 제때 치료받지 못한 채 집에서 사망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서울 경기권에는 중증환자를 받을 병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건당국은 병상에 아직 여유가 있다고 호도하고 있다는 것.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대전협 박한나 수련이사는 “지금의 응급실은 생지옥이라고 생각해도 다를 게 없다”며 “환자들 중에서 꼭 치료가 필요한 환자인지에 대한 판단을 의료진이 해야 한다. 환자를 받는 것도 문제가 있지만, 중환자실로 보낼 수도 없기 때문에 현장은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연주 수련이사도 “경기도의 한 병원에서 41번째 격리실 컨택을 하던 환자를 받은 적이 있을 정도로, 수도권에는 격리실이 남아있는 곳이 없다”며 “의료현장 인프라, 병상 확보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어서 전공의들도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환자들을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기에 대전협은 의료현장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한솔 회장은 “교통체증이 발생하면 뒤에 있는 차들이 제대로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과 비슷하다. 현재 발생한 환자들을 빨리 분류하고 이송ㆍ입원시켜 다른 환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자리가 있는 병원에 입원시키려고 해도 정부를 통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시스템만이라도 효율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고민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라는 ‘모수’가 늘어남에 따라 ‘위중증 환자’의 숫자도 늘어 중환자실 역시 괴로움을 겪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중환자 병실이 부족해지자, 대한중환자의학회에서는 병실을 우선배정하는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가 개최한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중환자 병실 우선배정 기준안 마련 토론회’에서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외상외과 홍석경 교수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중환자 병실 우선배정’이란 발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부에 따르면, 12월 9일 현재 일반병상은 1만 2169병상 중 3547병상을 가용할 수 있으며, 가동룔은 70.9%이고, 중환자병상은 1255병상 중 266병상을 가동할 수 있고, 가동률은 78.8%이다.

이처럼 중환자 병상이 가동률이 80%에 육박하고, 계속 발생하는 위중증 환자 수를 중환자 병상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지난해 8월 재난 상황 시 중환자실 입ㆍ퇴실 우선순위를 제안했다. 하지만 중환자의학회의 제안에 대해 1년 넘도록 논의조차 시작되지 못하고 있다.

홍석경 교수는 “최고의 장비, 인력, 시설을 이용해 최고의 치료를 하던 이때까지의 의료행위에서 한정된 자원을 이용한 최적의 치료를 하는 것이 의료인도 다시 생각해야 하고,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국의료윤리학회 임채만 회장은 “중환자 퇴실 역시 환자의 회복 정도나 속도 그리고 장단기 예후에 따라 입실 못지않게 복잡한 판단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며 “코로나 중환자의 경우도 회복의 양상이 다양하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고, 여기에 더해 준 중환자실 일반 병실 또는 타병원 전원이라는 여러 가지 선택들이 있기 때문에 입실 결정 못지않게 퇴실 우선 기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중환자의학회 코로나19TFT 위원장인 삼성서울병원 서지영 교수도 “지금 상황에선 더 효율적으로 병상을 운용하는 방안 아니면, 격리원칙을 푸는 방안 2가지 밖에 없다”며 “지금 우리나라에서 하는 방식은 중앙에서 컨트롤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중환자실 배정 등 기준을 적용하는 게 쉽지 않다. 격리원칙을 포기하지 않으려면 중환자의학회가 제시한 입퇴실 우선순위를 작동하게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정부가 일부 나서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의료현장의 붕괴가 현실화되자, 의협에서도 대책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대한의사협회 박수현 홍보이사겸대변인은 “재택치료가 성공하기 위해선 환자가 조금이라도 안 좋거나 중증의 사인이 있으면 다른 곳으로 옮겨서 진료해야 한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경증과 중증 사이에 있는 센터로, 생활치료센터를 개조하든, 체육관을 활용하든 어떻게든 코로나19 환자를 이송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응급실에서 코로나19 확진을 받았으면 센터로 환자를 보내, 중환자실로 가야 할 환자, 다시 재택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를 분류한다면 응급실이 처한 지금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중환자실 역시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중환자를 분류해 이송될 병원과 병실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를 담당한 컨트롤타워가 없다”며 “중환자를 분류할 때 중환자 우선순위를 나누는 것에 대한 기준 역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의 어려운 상황에 대한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어서 협회에서도 현장을 파악하고 있다”며 “최근 의협에서 중환자와 관련된 토론회를 진행했고, 조만간 응급실 관련 좌담회 등을 통해 의견을 모아, 의료현장의 어려움이 해결될 수 있도록 정부에 개선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