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51 (토)
약물사고 대응체계 ‘의·약료 통합정책’ 필요
상태바
약물사고 대응체계 ‘의·약료 통합정책’ 필요
  • 의약뉴스 정흥준 기자
  • 승인 2018.12.13 0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취약계층 맞춤서비스 화두...“약사 배제 불가”

의약품 사고 위기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의·약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약료 중 한쪽으로 편중된 정책 강화가 이뤄져서는 안되고, 통합서비스 제고를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특히 장애인, 노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는 맞춤형 대응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어제(12일)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는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안전사고 대응체계 강화 정책세미나’가 개최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건강세상네트워크 김준현 대표는 “저소득층 노인, 시각장애인 등은 누군가 매니저역할, 대리인 역할을 해야한다”며 “거점약국이 돼야할지, 병의원이 돼야할지, 공무원일지 논의해야겠지만 지역사회 기반으로 풀어야할 문제는 맞다”고 말하며 케어매니저의 역할을 핵심으로 꼽았다.

현재 제약업계에서는 신속 대응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을 갖추고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는 “메르스 사태 때 업체들의 항바이러스제제 재고량 파악, 복용가능 기간 등을 파악해 정부에 제공한 바 있다”며 “긴급할 때 생산량, 재고량 등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갖춰져 있다”고 말했다.

취약계층을 위한 표시·기재 정비 및 강화는 내부논의를 거쳐 필요한 수준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일정 부분에서는 전문가들을 활용하는 방법이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엄승인 상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패키기 얘기는 매년 나오고 있다”며 “시설투자도 어렵고, 검수할 사람도 부족하며 전체적 적용은 활용도나 경제성이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의 점자문맹률도 높은 비율이라는 주장이다.

차라리 의약사로부터 올바른 설명을 듣는 것이 빠르고, 의약품 보관 또는 전화상담 등을 통한 방법을 연구해 경제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약사회 이모세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장은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만들어야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정책사업 등을 보면 약물관련 내용은 미비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모세 본부장은 “건강증진사업만 보더라도 약물관련 내용은 없는데 다른 분야들은 5년씩 계획을 세워서 하고 있어, 이같은 계획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장애인주치의 제도, 커뮤니티케어 등에서 약사를 배제함으로써 약물서비스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 본부장은 “환자안전법에서도 전담인력에 약사가 빠져있다”며 “또 위험에 노출된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모니터링과 사례분석을 강화해 적절한 대책을 만들어야 하고,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등이 현장에서 역할을 할 수 있게끔 정책제안이나 지원을 강화,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히트뉴스 최은택 기자도 정부가 취약계층에 대한 서비스를 의료중심으로 많이 추진하고 있다며, 의약료서비스 통합강화를 촉구했다.

최은택 기자는 “중간코디네이터로서 보건의료인력과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의약사간 직역갈등 소지로 인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지만 전향적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촘촘한 대응메뉴얼이 실제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권교체 등의 이유로 단절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를 부여해 점검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