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6023건)
▲ 애브비는 엠라클리딘의 임상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다음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 임상시험 데이터를 계속 분석하고 있다고 전했다.
▲ 미국 FDA는 오토루스의 CD19 유도 유전자 변형 자가 T세포 면역요법제 오카질을 재발성 또는 불응성 B-ALL 치료제로 허가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암젠은 테즈파이어의 CRSwNP 임상 3상 시험에서 도출된 자세한 결과를 향후 규제당국 및 과학계와 공유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렙타 테라퓨틱스는 듀센 근이영양증 유전자 치료제 판매가 순항 중인 상황에서 차세대 엑손 스키핑 치료제의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HIV 복합제 빅타비 및 데스코비 수요 증가로 HIV 부문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올 한 해 매출 성장률이 23%~27%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 듀피젠트는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 1세 이상 소아 호산구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최초의 치료제로 승인됐다.
메루스의 이중특이항체 제노쿠투주맙은 NRG1 융합 폐암 및 췌장암 환자를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표적치료제가 될 수 있다.
▲ 아이오니스의 도니달로센은 유전성 혈관부종 발작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예방적 치료제가 될 수 있다.
저니 메디컬은 엠로시가 미국에서 성인 주사 환자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표준 치료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아센디스 파마의 트랜스콘 기술 플랫폼을 활용해 대사질환 및 심혈관질환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고 상업화하기로 했다.
베라스템 온콜로지의 아부토메티닙과 데팍티닙 병용요법은 미국에서 재발성 KRAS 변이 저등급 장액성 난소암에 대한 최초의 치료제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