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9 06:05 (월)
APASL STC 2023 '간질환 치료ㆍ정책' 심도있는 논의
상태바
APASL STC 2023 '간질환 치료ㆍ정책' 심도있는 논의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3.09.18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간학회, C형간염 국가검진 가시화...복지부 전문위원회만 남아

[의약뉴스]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는 ‘APASL STC 2023’에는 간질환에 대한 최신지견이 공유된다. 특히 새로 개발된 다양한 임상약제 뿐만 아니라 간질환 치료의 미래 전망 및 그간 추진해온 정책 현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다는 소식이다.

대한간학회는 지난 15일 더 클래식 500 라구뜨에서 ‘아시아태평양간학회 APASL STC 2023 국제학술대회’를 맞아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 (왼쪽부터)최원혁 홍보이사, 배시현 이사장, 장재영 정책이사.
▲ (왼쪽부터)최원혁 홍보이사, 배시현 이사장, 장재영 정책이사.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하게 된 ‘아시아태평양간학회 APASL STC 2023’은 24개국, 396편의 발표 연구 초록, 사전등록자가 621명, 해외 참가자가 88명에 이를 정도로 성대하게 준비 중이다.

간학회 배시현 이사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국에서 아‧태안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해 기쁘다”며 “올해는 새로 개발된 다양한 임상 약제와 간질환 치료의 미래 전망과 그동안 추진해온 주요 정책사업의 현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원혁 홍보이사는 “간질환에 대한 국내 학회 위상이 높아져서 외국과 많이 교류하는 것은 물론, 신진 연구자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미국간학회와 함께 우리나라의 신진연구자 지원 협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했고, 대만간학회, 일본간학회가 국제학술교류 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 각 학술지 영향지수를 보면 미국보다 낮지만 대한간학회지의 영향지수가 일본이나 유럽보다 높다”며 “이번 국제학술대회 간염관리 정책세션은 질병관리청의 후원을 받으며, ▲한국의 B형, C형 간염 국가간염관리 사업 ▲한국의 B형, C형 간염 퇴치 전략 ▲주사약물 남용자에서 C형간염 실태 ▲한국 B형 간염 코호트 연구 등 정책사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국제학술대회에 발표되는 여러 주제 중에서도 ▲CAMP-B Score Predicts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fter HBsAg Seroclearance ▲우리나라의 B형간염 역학 조사 : 15년의 진료 변화와 COVID 19의 영향 ▲한국의 C형 간염 퇴치 전략: 선별검사의 경제성 평가를 중심으로 등을 소개했다. 

최 이사는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혈성 항원(HBsAg)이 없어지는 경우)를 가져올 신약이 나올 경우,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해야 될지는 연구가 많지 않다”며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두 기관에서 만성 B형간염 기능적 완치를경험한 347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향후 간암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한 연구가 발표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1년 WHO 가 제시한 C형간염 퇴치 인증 목표는 인구 10만명당 발생률 5명 이하, 사망률 2명 이하”라며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C형간염 선별검사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구축된 각각의 시나리오별 청간염 퇴치 목표 달성 시기와 경제성을 평가, 효율적인 C형간염 선별검사 시나리오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 역시 발표된다”고 전했다.

여기에 이날 기자간담회에선 그동안 간학회가 추진해온 정책사업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C형간염 선별검사 도입 추진 과정과 당위성에 대한 설명, 그리고 국가건강검진 편입에 대해 설명했다.

장재영 정책이사는 “C형간염은 치료 효과가 탁월한 경구약제가 나온 이후 완치율이 거의 100%에 가깝고, 선별검사하면 어떤 검사방법을 적용해도 결과가 좋다”며 “방치하다가 간경변이나 간염으로 이환되면 의료비는 급증하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도 분명히 효과 있다”고 말했다.

이어 “C형간염 선별검사에 대한 질병청 만성질환예방과의 기준을 통과했다”며 “검진효과평가분과, 간질환 전문기술분과, 검진항목평가분과 등의 분과회의를 모두 마치고, 보건복지부 전문위원회를 예정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간학회와 질병관리청은 올해 4월 제1차 바이러스간염 관리계획 공동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으며, 이후 질병청은 지난 7월 28일 세계 간염의 날을 기념해 열린 심포지엄에서 간학회가 제안한 40~65세 기간 평생 1회 C간염 선별검사 시행을 골자로 한 국가건강검진안을 공개했다.

아울러 이번 APASL SCT 2023에 별도로 마련된 간염관리 정책 세션에서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가 참여해 한국의 B형ㆍC형 간염 국가간염관리 사업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는 등 학회와 질병관리청 간의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간학회는 비대상성 간경변증에 대한 산정특례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 이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했다.

중증난치질환자 산정특례제도는 치료법은 있으나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사망 또는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는 수준의 증상을 보이며, 진단 및 치료에 드는 사회ㆍ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수준을 보이는 질환을 대상으로 운용하고 있다. 

간학회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연구에서 간경변증 환자 2609명, 5대암(폐암ㆍ직장대장암ㆍ위암ㆍ간암ㆍ유방암) 환자 4852명의 사망률을 2002년부터 8년간 분석한 결과,  간경변증 환자군의 사망률이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한 이후에도 위험비 1.27로 암환자군보다 높았다.

특히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군의 경우 위험비 1.82로 사망 위험도가 더 높았다. 

이에 대해 장재영 정책이사는 “간경변증 사회ㆍ경제적 부담이 갈수록 늘고 있는데, 간경변증 요양급여 비용은 2015년 1300억원에서 2019년 1880억원으로 급증했다”며 “간경변증 요양급여 비용 중 연령별 부담 비율은 인구고령화로 사회경제적 활동 필요한 50대 이상에서 부담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또 “간경변증 상병코드가 너무 많아, 상병코드의 다양화로 정확한 개인당 의료비용 산출이 불가능하다”며 “이에 혈우병 환자의 적용기준을 INR 1.7 이상으로 조정한 간경변증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했으며, 현재는 산정특례 적용을 위한 예산을 추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