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2 17:18 (목)
코로나19 4차 유행에 의료계도 "여력 없다"
상태바
코로나19 4차 유행에 의료계도 "여력 없다"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1.07.21 0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일주일간 수도권 확진자 1000명...생활치료센터 등 의료인력 요청에 “어렵다”
▲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일주일 이상 1000명을 넘어서고, 4차 유행이 현실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방역에 관한 비상이 걸렸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 최일선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의료진에도 비상이 걸렸다. 
▲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일주일 이상 1000명을 넘어서고, 4차 유행이 현실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방역에 관한 비상이 걸렸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 최일선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의료진에도 비상이 걸렸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일주일 이상 1000명을 넘어서고, 4차 유행이 현실화하면서 사회 전반에서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방역 최일선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의료진에게도 경고등이 켜졌다.

코로나19가 1년 이상 지속된 상황에서 4차 유행이 발생하니, 의료진의 ‘번아웃’ 현상이 더욱 심해진 것.

특히 최근에는 지자체의 요청에도 의료인력을 더 지원하기 어려워 난색을 표하는 의료기관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7월 20일 0시 기준으로 지난 1주일(7월 14~20일) 동안의 국내 발생 환자는 9,850명이며, 1일 평균 환자 수는 1407.1명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7월 13일 1150명, 7월 14일 1615명, 7월 15일 1600명, 7월 16일 1535명, 7월 17일 1454명, 7월 18일 1451명, 7월 19일 1252명, 7월 20일 1278명으로 연일 10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자, 의료계에서 선별진료소, 생활치료센터 등에 지원을 나가 방역에 최선을 다하는 모양새다.

대표적인 예로, 코로나19 초창기부터 지자체와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방역 전반에서 활약한 광주시의사회의 경우, 최근 전국적으로 델타 변이바이러스로 인한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해지자, 20명 전후로 검체채취 자원봉사 등 방역 지원에 나섰다.

광주시의사회 박유환 회장은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해지자 광주시에서 지원 요청이 왔다”며 “광주시의사회는 이런 사태를 대비해 인력풀을 마련해 놓고 있었기에 의료인력 지원을 통해 방역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일주일 사이 평균 1000명에 가까운 환자가 발생한 수도권, 특히 서울의 경우에는 지자체의 요청에도 의사회가 선뜻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19 수도권의 확산세는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수도권 환자는 1000.1명으로 전 주(928.7명, 7월 7~13일)에 비해 71.4명 증가한 상황이다.

서울시의사회 박명하 회장은 “최근 서울시청에서 선별진료소, 백신접종센터 예진, 생활치료센터에 의사인력을 지원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며 “전국적으로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요청이 왔지만 응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서울시의사회 내 특별분회도 그렇고 병원급 의료기관, 구의사회도 이젠 한계치”라며 “이미 많은 의원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위탁의료기관으로 자원한 상태로, 이에 전념하면서 의료인력 지원에 응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병원급 의료기관에 그나며 여유가 있어 지원을 해줬지만 추가로 지원하는 것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며 “서울시의사회 차원에서 해결이 어려워 대한의사협회에 지원을 요청했지만 전국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 어렵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모 중소병원장도 “대한중소병원협회에도 생활치료센터 의료인력을 지원해달라는 요청이 온 걸로 알고 있다”며 “중소병원 입장에선 인력을 파견하는 게 어려운 일이다. 의료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원을 위한 인력을 빼기 어렵고, 자칫하면 지원 나간 인력을 잃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렇듯 코로나19 4차 유행에 대한 의료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 발생하자, 이에 대해 그동안 싼값에 의료인력을 쓰려는 정부의 태도가 문제가 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사적영역에 있는 민간의료기관의 의료인력 등 자원을 사용함에 있어 정부와 의료계의 협의가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 지원을 나가면 정부가 의사, 간호사 등에게 어느 정도 비용을 지급해주지만, 일본 같은 경우에는 지원을 나가면 평소 받는 임금보다 더 많이 주고 있다”며 “국가적 재난 사태에서 민간의료기관이 정부의 요청에 자발적으로 응하려면 지난 40여년간 의료계에 줬던 보상 수준보다 더 많은 비용을 주면 간단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사명도 중요하지만 사적영역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려면 가장 중요한 유인 요인은 비용”이라며 “지금 정부는 재난지원금 등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 등에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런 비용을 치료단계나 발생한 환자의 파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계에 투입하면 전체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의협에도 정부에 적극적인 건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조언도 있었다. 코로나19를 정책 전환을 하는 기회로 삼아 기존에 충분하지 못한 비용이란 관행을 타파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모 의사회 임원은 “현재 의협은 이필수 집행부가 막 출범한 상황이고, 코로나19 4차 유행이라는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상황에서 정부와 장기적 관점에 대한 논의를 하기 어려운 입장”이라며 “그렇다고 해도 기존 미흡한 보상수준부터 병상 및 의료인력 확보를 위해 정부가 쏟는 시간과 인력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코로나19를 통해 복지부에 기존의 관행이나 정책들을 전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걸 어필하고, 의협 차원에서 정식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