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6 06:02 (금)
성일은 그 날 보란듯이 연을 하늘높이 날렸다
상태바
성일은 그 날 보란듯이 연을 하늘높이 날렸다
  • 의약뉴스 이순 기자
  • 승인 2021.07.16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람이 다시 불어 왔다.

땅으로 쳐졌던 울긋불긋한 천 조각들이 다시 수평선과 나란히 섰다. 시들었던 모가 시원한 소나기 한 방으로 생생하게 되살아나는 것처럼 바람은 비의 역할을 했다.

대나무에 매달린 만장의 처음과 끝이 일직선으로 가고 있다. 마치 진군하는 병사들처럼 앞으로 쭉쭉 뻗어 나가고 있다.

적진이 코앞이라도 되는 듯이 기세가 거셌다. 애초 그랬다는 듯이 만장과 바람은 자연스럽게 어울렸다.

이제 다 왔으니 쉬는 대신 계속 가는 일만 남았다. 바람도 죽지 않고 있다. 이런 날에는 연을 날려야 한다. 연을 날려야 하는 날이 있다면 바로 오늘이다.

성일은 만장을 쳐다보다 연 자세를 들고 달려나가고 싶다는 간절한 생각이 들었다. 그러자 몸은 어느새 달려나가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얼레를 잡지 않은 손은 줄을 잡고 연신 앞으로 채고 있다. 문 고기를 낚는 것과 같은 빠르고 순간적인 동작이다.

성일은 자신도 모르게 그런 행동을 하다 번뜩 정신이 들었다. 다시 자세를 바로 한 그는 지팡이를 집고 곡을 하는 정태와 용순을 보았다.

그도 그들을 흉내 내면서 몸이 어느 새 거기에 길들여져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상여꾼들이 자연스러운 것은 늘 그것을 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일은 자신의 몸과는 달리 돌담 아래서 놀자는 친구들의 소리에 귓전이 근질거리는 것을 느꼈다. 마음은 장지가 아닌 콩밭에 있었다.

하염없이 따라가기만 하는 이 일을 당장 멈추고 싶었다. 혼나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그러고도 남았다. 더 참아야 한다.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서는 하기 싫은 일도 해야 한다.

걷는 일도 노랫소리도 지쳤다. 아니 이제는 지겨워 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완전히 그런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조금은 호기심이 남아 있었다.

슬퍼서 죽을 것 같다가도 어느새 평온한 얼굴로 돌아오고 다시 깊은 슬픔에 빠지는 표정을 보는 것도 괜찮았다. 어떤 때는 금방 울었다가 금방 얼굴이 펴지기도 해 성일은 놀라기도 했다.

슬픔은 오래가고 기쁨으로 바뀔 때는 어떤 과정이 있어야 하는데 어른들은 그런 것 없이 바로 건너뛰었다.

울다가 웃으면 똥구멍에 털이 난다는 말은 말짱 거짓말인가 보다. 조금의 어색한 표정도 없이 그렇게 바뀌고도 어른 들은 미안한 기색이 없었다.

그런 표정을 살펴보면서 성일은 틈틈이 손을 앞으로 채면서 이제 막 보이기 시작한 장지를 쳐다 보았다. 한 200 미터는 더 가야 할 듯싶었다.

벌써 한나절이 다 가고 있다. 남들은 가까운 곳에 묻는다는데 우리 할머니는 왜 그렇게 먼 곳으로 가는지 성일은 그것이 불만이었다.

놀 때는 단박에 가는 곳이었지만 오늘 따라 가다 쉬다 가다 쉬다 하면서 가는 길이니 질릴 만도 했다. 더군다나 그 길은 마음대로 빨리 갈 수도 없었다.

상여를 앞지르는 것은 불손한 행동이었다. 성일은 다리도 아프고 몸도 뻣뻣하게 굳어 오는 것을 느꼈다. 할머니의 손자라서 당연히 그래야 하지만 지금은 그것이 너무 싫었다.

주변의 눈치만 아니라면 만사 제쳐 놓고 달려나가고 싶었다.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하고 참는 것은 괴로운 일이었다. 달리 어찌할 수 없으니 더 그랬다.

그러니 얼른 상여가 선산에 도착하기만을 바랄 수밖에 없었다. 이래서는 안 되는 것을 알면서도 슬픈 표정은 불만으로 찌그러지고 있었다.

억지로 슬픈 표정을 짓는 것도 이제 한계에 다다랐다. 여기를 한시바삐 벗어나서 어디든 달려나가고 싶었다.

마침 바람도 아래서 위로 불고 있다. 하필 이런 날이 할머니 장삿날이라니. 아직 겨울도 아니어서 연을 날리는 것은 예의도 모르는 아이처럼 어른들의 손가락질을 받을 일이었다.

그러나 꼭 연을 겨울에만 날리라는 법은 없다. 그것을 동네에서 처음으로 깬 것이 성일이었다. 성일 이전에는 누구도 겨울이 오기 전에 연을 날리는 아이는 없었다.

처음에 성일이 여름이 끝날 무렵 연을 들고 나가자 정태는 정색을 하고 말렸다. 세상 물정 모른다는 투였다.

용순 역시 연을 여름에 날리는 애가 어디 있느냐고 핀잔을 주었다. 연은 음력 초하루에 시작해 정월 대보름까지만 하는 놀이였다.

그날 이후에 연을 날리면 부정을 타는 일이었다. 태워 버리거나 날려버리지 않는다면 사람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겨 놓아야 했다.

용순이 손을 저어 말렸으나 빠르게 달려나가는 성일을 잡을 수는 없었다.

야야, 너 그러다 동티난다 야.

길에서 만난 동네 어른은 손에 든 연을 보고 설마 날리기 위해 들고 있는 것은 아닐 거라는 이상한 눈초리로 바라 보았다. 그러나 그날 성일은 보란 듯이 연을 하늘 높이 올렸다.

나이론 줄이 연 자세에 남아 있는 것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줄을 다 풀었고 연은 그만큼 하늘 높이 떠 있었다.

겨울이 아니어도 연을 띄울 수 있다는 사실을 동네 아이들은 그때 처음으로 알았다. 그리고 그들은 따라 하기 시작했다.

연을 새로 만들거나 작년의 연을 다락방에서 꺼내와 하나둘 연을 들고 들판을 달리기 시작했다.

좋은 것은 누가 말려도 그러하기 마련이다. 성일은 손이 또 근질근질했다. 한 손은 자세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줄을 잡고 채는 시늉을 다시 시작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