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14 07:09 (화)
"프로포폴, 처벌 강화만으로 중독 못이겨"
상태바
"프로포폴, 처벌 강화만으로 중독 못이겨"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3.03.20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혁재 이사...중독ㆍ투약 정보 공유 강조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간에 프로포폴 투약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회장 이진호) 최혁재 홍보이사는 최근 코펌칼럼을 통해 “상급 종합병원부터 병원을 거쳐 의원에 이르기까지 프로포폴 투약에 관한 정보가 공유되고, 오남용의 우려가 발견된 환자는 해당 병원에서 즉시 관계기관에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밝혔다.

최근 정상급 여자 연예인 4명이 프로포폴 남용과 관련해 마약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거나 약식 기소됐으며, 연예인 외에도 프로포폴을 맞기 위해 2년간 위내시경을 500회 이상 한 40대 가장이 구속되는 일도 있었다.

후자의 경우 과거 미다졸람에 중독돼 지방 병원까지 다니면서 250번이나 내시경을 받았던 사람의 기록을 2배나 넘는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이처럼 프로포폴 오남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이를 막기 위해 지금까지 취해진 조치는 행정적 처분의 강화 수준이었다.

하지만 프로포폴 의료기관 사이에 프로포폴 투약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이러한 사례를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최혁재 이사는 먼저 “반복처방에 의한 중독이나 불법유통에 의해 제도권 밖으로 빠져나간 약물에 대해서는 통제력이 약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면서 “기존의 마약도 처벌이 약해서 중독자가 양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프로포폴의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수면마취제의 사용을 무조건 제한하고 다른 방법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될 수 없다. 건전한 수요자에게 필요 이상의 제한을 가하는 족쇄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결국 프로포폴 사용 자체를 제한하는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오남용을 막을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 이사는 병원간 투약 정보 공유를 제시한 것으로, 이와 함께 소비자 계도를 함께 언급하기도 했다.

최 이사는 “아무런 대비 없이 수면마취제를 접했다가 의도하지 않은 중독에 빠지지 않도록 어린 나이부터 충분한 교육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편리하지만 안전성이 낮고 중독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계심이 제대로 심어진다면 무분별한 호기심과 낙관으로 불행에 이르는 일이 적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