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8 15:11 (일)
[ESMO 2023] 고위험 조기 유방암 정복 잰걸음
상태바
[ESMO 2023] 고위험 조기 유방암 정복 잰걸음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10.20 2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버제니오, 5년차에서 차이 더 벌어져...키트루다ㆍ옵디보도 긍정적 결과 도출

[의약뉴스 in 마드리드] CDDK4/6 억제제들이 조기 유방암에서 성과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면역항암제들도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20일 오후(현지시간) 개막한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ESMO Congress 2023)에서는 호르몬수용체 양성(HR+), 사람상피성장인자수용체2 음성(HER2-) 고위험 조기유방암 환자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 릴리)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있는 monarchE 연구의 5년차 유효성 평가 결과가 발표됐다.

 

▲ 고위험 조기유방암 환자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공개된 가운데, 학술대회장의 자리가 부족해 항의 소동을 빚기도 했다.
▲ 고위험 조기유방암 환자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공개된 가운데, 학술대회장의 자리가 부족해 항의 소동을 빚기도 했다.

HR+/HER2- 조기 유방암 수술 후에는 내분비 요법이 가장 널리 시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2년 내에 내성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 중 재발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했다.

버제니오 등 CDK 4/6억제제들은 그동안 HR+/HER2- 유방암의 다양한 영역에서 가치를 확인해왔다.

이 가운데 버제니오는 이 연구에서 확인된 긍정적인 결과를 토대로 CDK4/6 억제제 중 최초로 고위험 조기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제로 등극했다.

이후 지난 6월에는 같은 계열의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 노바티스)가 저위험 조기유방암 환자에서도 긍적적인 데이터를 확보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특히 버제니오는 수술 후 보조요법 허가의 근거가 된 monarchE 연구에서 해를 거듭할수록 대조군(내분비 단도교법) 대비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nvasive Disease-Free Survival, IDFS) 및 원격 무재발 생존율(Distant Relapse-Free Survival, DRFS)의 격차를 더욱 크게 벌렸다.

이 같은 양상은 중앙 추적관찰 54개월 시점에 진행한 5년차 분석에서도 이어졌다.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의 격차가 3년차 4.8%p, 4년차 6.0%p에서 5년차에는 7.6%p로 확대된 것.

원격 무재발 생존율 격차 역시 3년차 4.1%p, 4년차 5.3%p에서 5년차에는 6.7%p로 더욱 확대됐다.

결과적으로 버제니오 투약군은 대조군 대비 침습적 질병 진해 또는 사망의 위험(HR=0.680, 95% CI 0.599-0.772)과 원격 재발 또는 사망의 위험(HR=0.675, 95% CI 0.588-0.774) 모두 32% 가량 낮췄다.

안전성에 있어서는 새로운 이상반응 양상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버제니오군에서 사망자가 조금 더 적었다.

항PD-1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 오노ㆍBMS)와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MSD)도 나란히 고위험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했다.

옵디보는 CheckMate 7F, 키트루다는 KEYNOTE-756 연구를 통해 나란히 표준 보조요법(항암화학 수술전 보조요법 후 내분비 보조요법)에 옵디보나 키트루다 또는 위약을 추가해 결과를 비교했다.

먼저 CheckMate 7F에서 옵디보 투약군의 병리학적 완전관해율(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pCR)은 24.5%로 위약군의 13.8%를 상회했으며(P=0.0021), 3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하위분석에서는 옵디보군이 30.7%로 위약군의 8.1%를 크게 상회했다.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의 차이는 PD-L1 양성인 환자에서 더 크게 벌어져, 옵디보군이 44.3%, 위약군은 20.2%로 집계됐다.

잔존 종양 부담(Residual Cancer Burden, RCB) 0-1 달성률도 옵디보가 30.7%로 위약의 21.3%를 상회했으며, 이 역시 PD-L1 양성에서 54.5%와 26.2%로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치료와 관련한 이상반응 발현율은 두 그룹이 유사했다.

KEYNOTE-756 역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됐다. 키트루다군의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이 24.3%로 위약군의 15.6%를 상회한 것(P=0.00005).

병리학적 완전관해율의 정의에 따른 평가에서도 ypT0 ypN0은 21.3%와 12.8%, ypT0/Tis은 29.4%와 18.2%로 모두 키트루다군이 위약군을 상회했다.

안전성 역시 이전에 보고된 이상반응 양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키트루다는 조기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후 보조요법에서도 긍정적인 데이터를 유지했다.

역시 항암화학 수술 전 보조요법에 키트루다 또는 위약을 수술 전후에 추가해 비교한 KEYNOTE-522 3상 5년차 분석에서도 키트루다의 무사건 생존율(Event-Free Survival, EFS)이 위약을 상회한 것.

중앙 추적관찰 63.1개월 시점에 진행된 5년차 분석 결과 키트루다군에서는 18.5%, 위약군에서는 27.7%에서 사건 또는 사망이 발생, 키트루다의 사건 발행 또는 사망의 위험이 37%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63, 95% CI 0.49-0.81)

60개월 무사건 생존율은 키트루다가 81.3%, 위약은 72.3%로 집계됐으며, 두 그룹 모두 중앙값에 이르지는 않았다.

가장 흔한 사건은 원격 재발로, 키트루다군에서 9.2%, 위약군에서는 14.1%가 발생했으며, 60개월차 원격 무진행 생존율 또는 원격 무재발 생존율은 키트루다가 84.4%, 위약군은 76.8%로 집계됐다.(HR=0.64, 95% CI 0.49-0.84)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달성한 환자에서 5년 무사건생존율은 키트루다가 92.2%, 위약은 88.2%로 집계됐으며, 병리학적 완전관해를 달성하지 못한 환자에서는 각각 62.6%와 52.3%로 보고됐다.

반면, 항PD-L1 면역항암제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 역시 NeoTRIP 연구를 통해 삼중음성 유방암 수술 전/후 보조요법에 도전했으나, 무사건생존율을 개선하진 못한 것으로 보고됐다.

한편,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의 예후를 개선한 연구들이 줄이어 발표된 현장에는 너무 많은 청중이 몰려 발표 현장에 들어가지 못해 항의하는 소동을 빚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