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8 15:11 (일)
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 실효성 논란 여전
상태바
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 실효성 논란 여전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3.09.26 1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랫폼 업체 2곳 추가 연동...‘미래를 위한 보험’ vs ‘실적을 내야 할 때’

[의약뉴스] 출범 5개월차를 맞이한 대한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약사사회 내부에서 이어지고 있다.

약사회는 꾸준히 업체들과의 연동을 늘려가며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부 약사들은 가입자 수에 비해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영향력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 대한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대한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약사회는 최근 굿닥에 이어 솔닥, 원닥 등 2개 플랫폼 업체와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연동을 마무리했고, 상임이사회 의결을 통해 승인 절차 또한 마쳤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공적처방전달시스템에 연동하는 플랫폼 업체가 늘어나고 있으나 약국 현장에선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여전히 큰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종료되면서 진료 범위가 축소되며 전반적인 비대면 진료 건수가 감소한 것도 실효성 논란에 불을 지피고 있다.

약 1만 5천명의 약사들이 가입한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약사 A씨는 “약사회의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실효성을 여전히 잘 모르겠다”며 “약사회가 회원들을 상대로 가입을 적극적으로 독려했는데, 그 후에 어떻게 흘러가는지 설명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가입 독려 시기에는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을 통해 모든 비대면 진료 처방전이 나올 것처럼 설명했지만, 실상은 달랐다”며 “6월 이후로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을 통해 비대면 진료 처방전을 받은 적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여기에 “수많은 회원이 가입한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며 “1만 5천명의 자료를 모았다면, 플랫폼 상황에 의존하는게 아닌 약사회가 자체적인 비대면 진료 대안을 제시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일단 현 상황에 안주하는 것 같아 아쉽다”고 전했다.

이에대해 약사회는 비대면 진료 건수가 감소하며 처방전 전달 건수 또한 줄어든 게 맞지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의미는 여전히 크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확대를 추진하는 상황에서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이 최악의 상황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끝나면서 처방 건수가 급감했고, 이전의 3분의 1 정도로 처방전이 나오는게 맞다”며 “하지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의미는 여전히 크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최근 복지부가 시범사업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안을 발표하고 있는 상황에서 약사회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을 유지하고, 활용할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이 대외적 입지를 다지기 위해선 복지부 등 정부 부처에 실효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약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확대 과정에서 약 배달 논의가 시작된다면 약사회는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을 꺼내들어야 한다”며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공적처방전달시스템에 대한 정부와 약사회의 공감대가 없으면,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체계에서 소외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약사회가 정부와 외부 단체, 산업계를 아울러 공적처방전달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해야 하고 그러지 못한다면 1만 5천명의 약사들의 정보가 모인 시스템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