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2~3일 쉬면서 이상반응 여부를 지켜볼 수 있는 ‘백신 휴가’와 관련, 정부가 관계부처와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정세균)는 지난 21일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 부처, 인천ㆍ강원ㆍ제주 및 해당 기초자치단체(인천 10개 구ㆍ군, 강원 18개 시ㆍ군, 제주 2개 행정시) 함께 ▲지역별 특별방역대책 ▲기초자치단체 수범사례 등을 논의했다.

지난 한 주(3월 14~20일)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415.9명으로 그 전 주간(3.7.~3.13.)의 428.3명에 비해 12.4명 감소했다. 60세 이상의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99.6명으로 그 전 주간(3월 7~13일)의 113.9명에 비해 14.3명 감소했다.
3월 20일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2만 3764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2만 4308건의 검사가 이뤄졌고, 61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34개소 5768병상을 확보(3월 20일 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38.7%로 3537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 중 수도권 지역은 4759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41.5%로 2786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8745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29.3%로 618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2573병상의 여력이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34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41.5%로 254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중환자병상은 총 766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국 611병상, 수도권 355병상이 남아 있다.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등에 의사, 간호사 등 1150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해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백신 휴가와 관련해 “현재 관계부처와 함께 여러 방안들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백신 휴가 제도화 필요성을 언급한 이후 부처별로 백신 휴가 제도 쟁점 사항을 논의해 왔다.
지난 16일 회의에선 백신 휴가 도입 시 유급ㆍ무급 여부, 유급 적용 시 부담 비용 처리, 휴가 기간, 민간 사업장ㆍ자영업자ㆍ소상공인 적용 가능성, 직종별 고려 사항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고, 19일에는 이런 쟁점 사안들을 두고 백신 휴가 제도화 관련 2차 실무회의가 이뤄졌다.
손영래 반장은 “백신효과에 대해서 예방접종 후 휴가를 자율적으로 줄지, 강제로 줄지 그 기간과 적용방식은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간의 협의를 좀 더 하면서 다듬고 있다”며 “만약 강제로 하게 한다 그러면 민간 부분에 대해서는 입법적 조치까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노력 외에도 국회와의 협의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조속한 시일 내에 정부 안을 마련해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