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687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폐완도미 (斃蜿掉尾) 아무리 하찮고 힘없는 사람이라도 너무 심하게 괴롭히면 반발한다. 거족경중 (擧足輕重) 다리 하나를 들어 어느 쪽에 두는 가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이동되어 세력의 우열이 결정된다는 뜻. '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관계정립' 왜 필요한가? '건강보험과 민간의료보험의 관계정립' 왜 필요한가? 계궁역진 (計窮力盡) 꾀가 다하고 힘을 모두 써 버렸다는 뜻으로, 더 이상 어찌할 도리가 없게 됨을 이르는 말. 근모실모 (僅毛失貌) 작은 것에 구애되어 큰 것을 잊음을 비유한 말. 희불자승 (喜不自勝) 어찌할 바를 모를 만큼 매우 기쁨. “황 할머니께서 오늘도 잠 못 이루신다” “황 할머니께서 오늘도 잠 못 이루신다” 대언불참 (大言不慙) 실천 못할 일을 말로만 떠들어 대고 부끄러운 생각조차 없는 것. 노말지세 (弩末之勢) 커다란 활의 퉁기는 힘이라는 뜻으로 걷잡을 수 없이 뻗어 나오는 세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좌불안석 (坐不安席) 앉아도 자리가 편안하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이 불안하거나 걱정스러워서 한군데에 가만히 앉아 있지 못... 학립계군 (鶴立鷄群) 닭이 많은 곳에 학이 서 있다는 것으로 눈에 띄도록 두드러지게 훌륭함을 비유한 말. 격화소양 (隔靴搔痒) 신을 신고 가려운 데를 긁는다 함이니 마음으로는 애써 하려하나 아무리 해도 실제 효과는 얻지 못한다... 처음처음이전이전이전301302303304305306307308다음다음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