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2022년 이후 3년 만에 다시 대규모 불용재고 반품 사업을 추진한다.
대한약사회 노수진 홍보이사는 12일 출입기자단 정례브리핑을 통해 불용재고 반품 사업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불용재고 반품 사업은 처방이 중단된 의약품이나 개봉 후 반품이 어려운 의약품 등, 일선 약국에서 처리가 어려운 재고를 약사회가 제약사ㆍ유통업체와 협의해 반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현장의 호응도가 높아, 역대 집행부가 주요 사업으로 추진해왔다.
약사회는 새 집행부 출범 이후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회원들의 실익을 고려해 조기 추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노 이사는 “새 집행부가 안정을 찾은 뒤 진행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회원들을 위해 조금 힘들더라도 빨리 시작하기로 했다”면서 “약학정보원을 통해 반품 사이트를 개발 중이며, 회원들이 이 사이트를 통해 반품 의약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약사회는 오는 6월부터 7월까지 전국 약국이 전산 시스템을 통해 불용재고 의약품 목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8월부터는 유통업체를 통해 수거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후 제약사와의 협의를 거쳐 12월 말까지 정산을 마칠 방침이다.
약사회는 지난 2022년 사업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반품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당시에는 반품 정산이 지연되며 약사들의 불만이 컸고, 유통업체들 또한 대량의 반품 의약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피해를 입었다.
이에 이번에는 제약사와의 사전 협의를 통해 정산 지연 문제를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 사업에서 협조적이었던 제약사들을 중심으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노 이사는 “약국위원회를 중심으로, 과거 반품 사업에 협조한 제약사들과 만나 정산 시기와 정산율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며 “서울과 경기 지역은 유통업체가 많아 주력 도매를 정하기 어렵다는 점도 고려해, 지역에 맞는 방식으로 반품 사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2022년 반품 사업 당시에는 전체 신청 약국의 82%인 1만 2000개 약국이 정산을 받았다”며 “이번에는 더 원활하게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