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지난해부터 시작한 불용재고 반품사업의 정산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올 연말 다시 한 번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불용재고 반품 협조 여부에 따라 제약사들을 3개 그룹으로 구분, 공식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현철 대한약사회 부회장은 2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불용재고 반품사업의 현황을 전했다.
약사회는 지난해 12월부터 불용재고 반품사업을 시작했지만, 아직까지 정산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이에 정산 지연 문제를 해결하고자 총 147개 제약사와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협조 여부에 따라 제약사를 구분해 데이터화 했다는 것이 정 부회장의 설명이다.
그는 “작년부터 올해까지 불용재고 의약품 반품을 진행해 일부 약국은 정산이 완료됐다”며 “하지만 아직 정산이 끝나지 않아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약사회와 제약사, 유통사가 서로의 이견을 조율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이어 “총 147개 제약사와 논의하며 반품 관련 데이터도 서로 확인했다”면서 “제약사별 반품 협조서 회신 여부 및 정산율을 정리해 데이터화 했다”고 설명했다.
약사회는 정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국 불용재고 반품사업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제약사를 A그룹으로, 반품사업에 참여했지만 까다로운 반품조건을 제시한 제약사는 B그룹으로, 반품사업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무대응으로 회사 방침을 고집하는 제약사는 C그룹으로 구분했다.
정 부회장은 “제약사 및 유통사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겉으로 말하는 내용과 실제 협조 내용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며 “이에 약사회는 제약사들을 A, B, C그룹으로 분류해 공식 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가장 협조하지 않는 C그룹에 대해서는 대외적으로 명단을 공개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며 “반품은 회원들의 재산과 관련된 문제인 만큼 일단 그룹별 명단은 보고하려 한다”고 전했다.
제약사 뿐 아니라 유통사에 대해서도 유사한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리했다는 것이 정 부회장의 설명이다.
불용재고 반품사업에는 제약사뿐 아니라 유통업체의 협조도 필요하지만, 협조하지 않은 업체들도 있어 이를 데이터로 정리했다는 것.
정 부회장은 “반품을 위해 물건을 가져갔지만, 정산이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며 “정산 지연 문제와 관련한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 유통사가 제약사의 핑계를 대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한편, 약사회는 10월 중으로 제약사와 마지막 논의를 진행해 연말부터 새로운 불용재고 반품 사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부회장은 “10월 중에 제약사와의 간담회를 마무리하고 다시 반품사업에 나서려 한다”며 “올해 반품사업의 정산이 늦어지며 지연된 부분이 있었지만, 데이터를 모았으니 이를 기반으로 다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는 반품사업을 통해 많은 걸 배우고 성장하고 있다”며 “더 나은 방향으로 추가 반품사업을 계속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