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21133건)
애브비의 CD3×CD20 이중 특이 항체(bispecific antibody) 앱킨리(성분명 엡코리타맙)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1차 치료에서 고무적인 데이터를 제시했다.
셈블릭스는 이전에 한 차례의 표적 치료제 투약 경험이 있는 만성기 만성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단일군 임상 2상 ASC2ESCALATE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했다.
신규 진단된 만성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400여 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선택한 표적치료제와 셈블릭스를 비교한 ASC4FIRST 3상 연구의 2차 중간 분석 결과 96주까지 셈블릭스가 보다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로슈의 ALK 표적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알레센자(성분명 알렉티닙)가 7년차까지 50%를 상회하는 전체생존율(Overll Survival, OS)을 보고했다.
얀센의 EGFR-MET 이중항체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와 유한양행의 3세대 EGFR 표적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지속적으로 고무적인 데이터를 만들어가고 있다.
암젠의 DLL3 표적 이중특이성 T세포 관여항체(BiTE) 임델트라(성분명 탈라타맙)가 아시아의 소세포폐암 환자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 옵디보와 젬시타빈, 시스플라틴 병용요법을 젬시타빈, 시스플라틴 병용요법과 비교한 Checkmate 901 연구 역시 아시아인에서도 일관된 이점을 제공했다.
MSD의 경구용 저산소증유도인자-2 알파(HIF-2α) 억제제 웰리렉(성분명 벨주티판)이 동아시아의 신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하위분석에서도 긍정적인 데이터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