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8 15:11 (일)
결핵관리사업, 신규 환자 줄었지만 취약계층ㆍ해외유입 대책 필요
상태바
결핵관리사업, 신규 환자 줄었지만 취약계층ㆍ해외유입 대책 필요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1.05.31 1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송은정ㆍ전두수 교수..."국가결핵관리사업 지원 강화, 맞춤형 사업 확대해야"

신규 결핵환자 발생 감소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국가결핵관리사업이 취약계층, 해외유입 등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다는 지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집중관리를 통해 결핵의 발생과 전파를 사회 모든 영역에서 동시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양산부산대병원 내과 송은정, 전두수 교수는 최근 대한의사협회지에 ‘한국의 결핵 현황 및 국가결핵관리사업’이란 기고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송은정, 전두수 교수는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10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단일 감염질환으로는 제1의 사망원인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962년 보건소를 중심으로 결핵관리사업이 시작돼 빠른 시기에 결핵이 감소됐다”며 “여전히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 1위, 사망률 2위라는 오명을 갖고 있고, 노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해외 유입 결핵 등 취약한 인구집단과 계층에서의 결핵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는 지난 2019년 한 해 약 1000만 명(인구 10만 명당 130명)의 새로운 결핵 환자가 발생했고, 142만 명(인구 10만 명당 18명)이 결핵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59명으로 215개 국가 중 87위였고,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0명으로 102위였다.

2019년 OECD 회원국 36개국의 평균적인 결핵발생률과 사망률은 각각 인구 10만 명당 11.0명과 0.9명으로, OECD 회원국의 결핵 발생률 순위는 1위 한국(인구 10만 명당 59명), 2위 리투아니아(인구 10만 명당 42명), 3위 라트비아(인구 10만 명당 26명)였다

다제내성/리팜핀내성 결핵 환자는 2019년 한 해 약 46.5만 명(인구 10만 명당 6.1명) 발생했을 것으로 추산되고, 이는 전체 결핵 신환자의 3.3%, 재치료자의 18%를 차지하는데, 우리나라는 4위로 조사됐다.

현재 우리나라의 결핵 신규 환자 수는 2001년 이후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1년 3만 9557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 2017년 2만 명대로 진입을 이뤘다. 2019년 결핵 신규 환자 수는 2만 3821명(10만 명당 46.4명)으로 전년 대비 9.9% 감소한 상태이다.

문제는 청년층 결핵환자수는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노년층의 결핵 발생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것. 2019년 65세 이상 노인 신환자는 11,218명으로 전년 대비 811명(10.7%) 감소했으나, 전체 신규 환자 중 차지하는 비율은 47.1%로 오히려 2018년의 45.5%에 비해 증가했다.

▲ Trends in notified cases of tuberculosis among total and new patients from 2010 to 2019.
▲ Trends in notified cases of tuberculosis among total and new patients from 2010 to 2019.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결핵 신규 환자발생율(10만 명당 148.7명)은 건강보험 가입자(10만명당 41.6명)에 비해 약 3.6배,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도말-양성 결핵 신규 환자발생율(10만 명당 49.8명) 역시 건강보험 가입자(10만 명당 11.1명)에 비해 4.5배 높게 나타났다.

또 유학, 취업 등으로 외국인의 국내 유입과 체류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결핵 환자 신고 수는 2001년 152명에서 2011년 1213명, 2016년 2569명으로 급증했다. 2019년 1,597명으로 최근 3년간 감소 추이를 보이지만, 외국인 다제내성결핵 환자 수는 2019년 107명으로 전년 대비 19명(21.6%) 증가했다.

결핵 사망자수는 2001년 3218명, 2005년 2893명, 2010년 2365명, 2015년 2209명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나 최근 감소추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지만 전체 결핵 사망에서 65세 이상이 차치하는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9년 65세 이상 노인 결핵 사망자수는 1482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82.3%를 차지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국가결핵관리사업은 1962년 전국 보건소를 통해 조기발견 및 치료 중심의 결핵관리사업이 시작됐고, 1968년 결핵예방법을 제정,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그러다 지난 2018년 9월 유엔 고위급 회의에서 2030년까지 전 세계 결핵 유행 조기 종식을 결의함에 따라, 2019년 이를 반영한 ‘결핵예방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해당 대책에는 결핵 예방 및 조기 발견, 환자 치료 및 접촉자 관리, 결핵 연구ㆍ개발 확대 및 필수재 관리, 결핵퇴치 대응체계 강화 등 네 개 분야별로 15개 중점과제가 포함돼 있다.

송은정, 전두수 교수는 우리나라 국가결핵관리사업의 향후 과제로 ▲노인, 고위험군, 사회적 취약계층에서의 결핵 관리 대책 ▲해외 유입 결핵에 대한 관리 대책 ▲잠복결핵감염관리 강화 ▲다제내성결핵 환자의 관리체계 구축 ▲지역사회 기반의 환자 관리와 지원 ▲결핵 연구의 기반 조성과 확대 등을 꼽았다.

이들은 “전체적인 결핵 발생률이 감소하면서 취약한 인구집단과 계층에서의 결핵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며 “취약한 인구집단과 계층에 대한 결핵 관리를 확대하고 맞춤형 사업이 시행돼야 한다. 최근 노인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검진기회를 확대하고 이동 결핵검진사업 등의 시범사업이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취업과 교육, 이주로 인해 결핵 고위험국가로부터의 외국인 유입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결핵, 특히 다제내성결핵 환자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며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이동이 잦고 불법체류 등으로 의료접근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 이들은 “그동안 잠복결핵감염 검진은 가족 접촉자, 집단시설 발병 시 역학조사,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 종사자로 대상이 확대됐으나, 검진율에 비해 치료 시작률과 완료율이 낮았다”며 “국내 잠복결핵감염 관리 사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국내 경험과 역학상황을 반영한 적절한 대상 선정과 등록-치료-모니터링이 연계, 지속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통합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다제내성결핵은 낮은 치료 성공률과 높은 사망률, 높은 질병 부담으로 인해 결핵 관리의 핵심적 문제로,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기진단, 적절한 치료, 환자관리, 그리고 이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국가결핵관리체계 내에서 잘 작동해야 한다”며 “최근 다제내성결핵 전문 치료기관을 지정해 치료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체계적 환자 관리를 위한 컨소시엄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성공적인 결핵치료를 위해선 환자의 생활 근거지에서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 걸 감안해, 지역자치단체의 역할을 보다 강화, 보건ㆍ복지ㆍ의료 부문이 연계된 지역사회 기반의 환자 관리 모델이 정착화돼야 한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송은정, 전두수 교수는 “다양하게 시행됐던 국가결핵관리사업의 성과는 최근 결핵 신규 환자 발생 감소로 나타나고 있다”며 “동시에 노인과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의 결핵, 해외유입 결핵, 다제내성결핵, 집단시설에서의 결핵 전파 등 새로운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결핵 퇴치를 위한 진전을 가속화하기 위해선 취약한 인구집단과 대상의 집중관리를 통해 발생과 전파를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동시 차단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국가결핵관리사업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강화해 취약한 집단에 대한 맞춤형 사업의 확대, 민간과 공공의 협력, 결핵 연구를 위한 지원, 범국민적 결핵퇴치 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