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의원들이 문재인 케어 저지 및 수가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한 임시총회를 요구하고 나선 것에 대해 의협 집행부는 22일 ‘공식 입장은 없다’라고 밝혔다.
다만, 대정부 투쟁과 관련해선 임기 초부터 투쟁 준비는 꾸준히 진행돼 왔다면서 집행부에 대한 신뢰를 당부했다.
최근 의료계에는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임시총회 발의 동의서’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임총 발의를 요구한 대의원은 정인석 대의원과 박혜성 대의원이다.
동의서에 따르면 임시총회에서 논의할 의안은 ▲문재인 케어(급진적 보장성 강화정책) 저지와 건강보험 수가 인상을 위한 대책을 추진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의 건 ▲불합리한 의료정책 개선 대책(경향심사, 한방대책, 응급실 폭력 대처 등)의 건이다.

동의서에는 “대정부 투쟁의 깃발을 앞세운 집행부가 출범한지 100일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며 “회원들은 투쟁과 협상을 통해 회원의 권익을 수호하고 보다 나은 의료환경 조성을 기대했으나, 성과없이 오히려 퇴보하는 현실에 실망만 가득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집행부의 안이한 대처와 부족한 상황판단에 의협 대의원들은 더 이상 상황 악화를 막고 대정부 협상력 강화와 투쟁력의 집중화를 위해 전권을 행사할 비상대책위원회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이에 의협 정관 제17조 제3항에 의거 의협 대의원회 의장에게 임총 개최를 요구하며 발의안을 제출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임시총회 개최 동의서가 나온 것에 대해 의협 정성균 기획이사겸대변인은 22일 기자브리핑에서 “아직 공식 입장을 낼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최대집 집행부가 대정부투쟁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는 대의원들의 지적에 대해 “대정부투쟁에 있어 회원들이 아쉬워하는 부분이 있다는 점을 집행부도 충분히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정부투쟁은 1회성 행사가 아니라, 계기·명분·국민의 지지가 있어야한다”며 “집행부 입장에선 부여받은 임기 동안 한 두 번의 기회밖에 없을 거라고 생각되며, 대정부투쟁이 급하게 진행돼 실패하면 회원들에게 큰 피해가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집행부는 최대집 회장의 당선과 동시에 투쟁에 대한 준비를 진행해오고 있다”며 “아지가 이 과정에서 회원들에게 노출할 수 없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회원들이 집행부의 대정부투쟁에 대해 아쉬운 생각을 갖고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정 대변인은 “대정부투쟁의 전략과 전술을 모두 공개하면 오히려 결집력 약화나 투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며 “집행부 출범 초기와 다름없이 지금도 투쟁에 대한 열의와 행보는 계속되고 있고, 결과물이 있을 때까지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