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3:53 (금)
[ESMO 2021] 키스칼리, HR+/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 생존기간 개선
상태바
[ESMO 2021] 키스칼리, HR+/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 생존기간 개선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1.09.22 0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년 시점 전체 생존율 44.2%, 위약 대비 사망위험 26% 감소...항암요법 노출도 지연

노바티스의 CDK4/6 억제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가 다시 한 번 진행성 유방암에서 위상을 높였다.

19일(현지시간)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ESMO 2021)에서는 이전 치료경험이 없는 호르몬수용체 양성(HR+)/인간상피세포수용체2 음성(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ONALEESA-2 임상의 최종 전체 생존율(Overall Survival, OS) 데이터가 공개됐다.

이에 앞서 키스칼리는 MONALEESA-7과 MONALEESA-3 임상을 통해 폐경 전 및 폐경 후 HR+/HER2- 진행성 유방암 환자의 생존 기간 연장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 노바티스의 CDK4/6 억제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가 다시 한 번 진행성 유방암에서 위상을 높였다.
▲ 노바티스의 CDK4/6 억제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가 다시 한 번 진행성 유방암에서 위상을 높였다.

앞선 연구들에서는 내분비요법+키스칼리 병용요법을 내분비요법 단독과 비교했지만, MONALEESA-2 임상은 레트로졸 단독요법과 레트로졸+키스칼리 병용요법을 비교했다.

새롭게 발표된 자료는 평균 추적관찰 80개월 시점에 집계한 결과로, 키스칼리 병용군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이 63.9개월, 위약군은 51.4개월로 키스칼리군의 사망 위험이 24%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HR0.76, P=0.004)

특히 전체 생존율이 4년 차(48개월)에는 60.9%와 55.2%, 5년 차(60개월)에는 52.3%와 43.9%, 6년 차(72개월)에는 44.2%와 32.0%로 시간이 흐를수록 격차가 벌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후속 항암치료로 이어지기까지의 시간 중앙값도 키스칼리군이 50.6개월, 위약군은 38.9개월로, 키스칼리군의 위험이 26% 더 낮았다.(HR=0.74)

이와 관련, 연구진은 폐경 후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첫 치료제로 키스칼리+레트로졸 병용요법이 위약+레트로졸보다 임상적으로 의미있게 전체 생존의 이득을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MONALEESA 연구들은 키스칼리가 내분비요법 조합이나 치료 횟수나 폐경여부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생존에 이득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