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2 08:36 (목)
의협, '피부미용사 피부과 영역침범' 헌법소원
상태바
의협, '피부미용사 피부과 영역침범' 헌법소원
  • 의약뉴스 조현경 기자
  • 승인 2008.05.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업의 자유, 국민의 건강권, 행동 자유권 침해 주장
대한의사협회(회장 주수호)는 공중위생관리법에서 피부미용사 업무범위와 업무장소 규정이 ‘국민의 건강권과 행복추구권은 물론, 피부과의사의 직업의 자유 등을 침해하는 위헌성이 있다’며 19일 헌법소원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공중위생관리법 제8조제2항에서 ‘미용업무는 영업소외의 장소에서 행할 수 없다’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의료기관에서의 피부미용행위를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돼 피부과의사의 직업의 자유, 국민의 건강권 및 행복추구권, 일반적 행동의 자유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위헌성이 다분하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동 규정은 피부미용사의 독점적인 직업 수행권 행사를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물론, 국민의 위생관리 및 건강 증진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기관에서의 의료행위에 수반하는 부수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피부 관리 행위까지 금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소지가 농후하다며 거듭 문제점을 지적했다.

의협은 또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제2항제2호에서 피부미용사의 업무범위를 ‘의료기기나 의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피부상태분석·피부관리·제모·눈썹손질’로 규정하고 있으나, 의료기기의 경우 상당수의 미용기기 또는 미용기구로 분류돼 피부미용사가 의료기기 등을 사용하는 불법적인 무면허 의료행위가 자행될 수 있다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동 규정대로라면 국민의 피부건강에 치명적인 부작용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의협은 “국민의 건강권과 관련한 중차대한 사항은 반드시 법률 형태로 규정되거나 그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의료기기와 미용기구의 구별 기준을 보건복지가족부령에 위임한 것은 법률유보,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에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김주경 의협 대변인은 “피부미용사의 업무범위와 업무장소 규정은 위헌적 성격이 강하다”며 “의사의 직업에 대한 자유 침해는 물론 국민의 선택권을 제한함으로써 국민의 건강권 및 행복추구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