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렌 아모디핀 애니디핀... 겨우 체면 세워
올 상반기 국내 제약시장에서 다국적 제약기업이 국내사를 압도하며, 맹위를 떨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2007년 상반기 의료기관과 약국이 EDI(전자문서 통신)로 청구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약값 상위 100대 품목(이하 100대 의약품)’중 국내 제약기업이 자체 개발ㆍ생산한 의약품은 8개에 그쳤다.
100대 의약품 가운데 ▲외자사가 직접 판매하는 품목 53개 ▲국내 제약사 제품 48개 ▲외국계와 국내사가 모두 판매하는 제품은 1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내 제약사 품목에서는 외국 제약사와 독점판매권 계약을 맺어 완제품을 수입ㆍ판매하거나 원료를 들여와 완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외국제품의 브랜드와 성분구성을 그대로 사용하는 권리를 들여와 생산ㆍ판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에 순수 국산 제품은 신약, 개량신약, 제네릭을 포함해 단 8개로 이는 지난해 10개보다 올해 2개가 줄어든 것이다.(한미약품 ‘이트라’, 경동제약 ‘디록핀지속정’이 올해에는 100위권 밖으로 밀렸다.)
실제 상위 100개 약물 중 국내기업이 개발한 신약은 ‘스티렌’(동아제약)과 ‘조인스정’(SK케미칼)으로 2개, 개량신약으로는 ‘아모디핀’(한미약품), ‘애니디핀’(종근당), ‘히루안플러스주’(LG생명과학), ‘스카드정’(SK케미칼)으로 4개로 파악됐다.
제네릭 의약품에선 ‘푸루나졸’(대웅제약), 백신의 경우에는 ‘헤파빅’(녹십자)으로 이렇게 총 8개가 100대 의약품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100대 품목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라이선스 인 주력기업인 대웅제약으로 9개▲SK케미칼과 GSK가 6품목 ▲한국MSD 5품목 ▲유한양행,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 한국노바티스, 한국화이자 등이 4품목을 보유했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