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약가 인하에 이은 사용량 절감 대책 발표가 향후 약제비 관련 정부의 정책 강도가 강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의약품 사용량 관리 대책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래에셋증권 황상연 애널리스트에 따르면, 진료과목 간 중복 처방 시 건강 보험을 한하고, 장기 투약자에 대한 총 투약 일수 관리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이번 대책은 과다한 중복처방을 받은 환자에 대한 사후 환수가 추진될 것임을 언급하고 있으며, 처방을 줄이는 의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도입도 함께 이뤄질 것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이와 더불어 치료보조제적 성격이 큰 파스의 전액 비급여화와 함께 은행잎제제에 대한 조건부 급여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은행잎 추출물 제품들이 주인 혈행 장애 개선제 제품들의 매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국내의 약제비 증가율에 있어 사용량 증가의 기여도가 76.1%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고, 주요 선진국 대비 처방건당 품목수도 4.16개로 평균 2.75개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황 애널리스트는 "현 정부가 추구하는 약제비 적정화 일변도의 지속적인 정책 기조 하에서 약가 인하이외에 추가적으로 의약품 사용량 통제 연관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은 항상적으로 제기되어 왔던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약가 인하라는 요인 이외 의약품 사용량 통제까지 향후 정부의 약제비 절감 정책 강도는 지속적인 강화기조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한 제약사 관계자는 " 약가인하와 사용량 통제는 국내사를 죽이고 외자사를 살리는 근시안적 정책" 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