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30 06:03 (화)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 ‘소통채널’ 급하다
상태바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 ‘소통채널’ 급하다
  •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 승인 2023.02.14 12: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수료 부분은 아직 정해진 바 없다”...“현장 상황 의견 전달하고 싶다”

[의약뉴스]

▲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은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 비대면 진료 플랫폼들은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비대면 진료 법제화를 앞두고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보건복지부와 업계가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업체들은 보건복지부와 어떠한 논의도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법제화 가이드라인이 계속 발표되기보다는 실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장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다고 밝혔다.

최근 보건복지부 박민주 제2차관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수수료와 관련된 생각을 밝혔다.

박 차관은 “만약 플랫폼을 이용하는데, 약간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면, 환자에게 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수수료를 플랫폼에 지불하고, 이 비용만큼을 정부가 수가를 추가로 주는 방식과 같은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복지부 차관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의 수수료 문제를 처음으로 언급하자 플랫폼 업계는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플랫폼 업체 중 아직 제휴 의료기관과 약국에 대한 수수료 정책을 준비하고 있는 곳이 없는 시점에서 복지부 차관의 구상은 갑작스럽다는 것.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복지부 차관의 발언을 보고 어떤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려웠다”며 “아직 비대면 진료 플랫폼 중 수수료 정책을 준비하고 있는 곳은 없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상황에서 복지부가 구체적으로 의료기관과 약국에서 플랫폼이 수수료를 징수하면 수가로 보상하는 방식을 말했다”며 “이에 맞춰서 수수료 정책을 준비하라는 신호인지 복지부의 의중을 모르겠다”고 밝혔다.

의정협의체가 가동되고 약정협의체 가동도 눈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업체들과의 대화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는 의료계와 약업계와만 대화하고 있다”며 “업체들 입장에서는 이 과정에서 발표되는 내용을 언론을 통해서 따라가며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게 아니라 순간순간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어 “분명 비대면 진료의 주체는 전문가들이 맞지만, 직접 소비자와 대면하는 업체들의 의견도 복지부가 들어주길 바란다”며 “현장의 상황을 전달하고, 공급자 입장 이외에도 소비자 입장을 알아야 법제화 이후에도 문제 없이 제도가 시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비대면 진료 가이드라인과 관련해서 업체와 논의했던 때처럼 만날 자리가 필요하다”며 “업체들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