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중국인 관광객의 감기약 싹쓸이 뉴스로 사재기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 당국이 판매 수량을 제한하려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일선 약사들의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확인 뉴스들이 퍼지면서 오히려 일반 시민들의 사재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으로, 판매 수량을 제한할 것이 아니라 여론부터 단속해야 한다는 것.

최근 한 언론을 통해 경기도 하남시 약국에서 한 중국인 관광객이 600만원 어치의 감기약을 구매했다는 뉴스가 보도되면서 감기약 사재기 현상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는 대형 약국 몰려 있는 중구와 종로구 일대 약국가를 돌며 ‘감기약 소량 판매 권고 캠페인’에 나섰다.
하지만 일선 약사들은 약국 대상으로 캠페인을 진행할 것이 아니라 여론부터 진정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약국 현장에서는 감기약 사재기 현상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있는데, 언론 보도로 인해 여론이 흔들리면 역으로 일반 시민들까지 사재기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약사 A씨는 “올해 내내 감기약이 부족했다”며 “하지만 약국에서 감기약을 사재기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중국인 관광객이 많았던 명동에도 아직 중국인들이 많이 보이지 않는다”며 “이런 시점에서 언론 보도로 인해 오히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들려 사재기에 나설까 걱정스럽다”고 지적했다.
중국인 관광객들의 감기약 대량 구매는 제도적으로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약사 B씨는 “중국인 관광객이나 조선족 방문객들이 감기약을 대량으로 구매해 중국으로 가려 하면 다 세관에 잡힌다”며 “특히 중국은 의약품 반입과 관련해 엄격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사재기한 감기약이 넘어가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한 사람이 감기약을 여러 개 사는 경우는 한국 사람들이 아픈 지인에게 사다 주는 목적 정도”라며 “현장에서는 사재기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데, 마스크 대란 때 있었던 사재기의 기억 때문인지 자꾸만 여론이 불안한 쪽으로 몰리는 듯해 아쉽다”고 전했다.
이런 시점에서 정부가 감기약 판매량 제한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약사들은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정부가 감기약 판매 수량 제한에 나서기 시작하면, 오히려 제도 시행 전에 약국에서 감기약을 미리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약사 C씨는 “정부에서 감기약 판매 수량을 제한한다고 하면 시민들이 동요할 것”이라며 “정책이 시행되기 전에 감기약을 미리 확보하려 행동에 나설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약국에는 지금 대량 판매할 정도로 감기약이 많지 않다”며 “정부가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불안감을 느끼는지 모르겠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것과 온도 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지난 공적마스크처럼 DUR을 통해 구매 이력을 제대로 정리하지 않으면 실효성이 떨어지는 조치”라며 “자가검사키트 판매 수량 제한 때도 같은 지적이 있었던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가 가장 먼저 할 일은 여론을 안정시키는 것”이라며 “방역에 대한 경각심도 키우면서 정부가 관리 가능한 수준의 상황임을 보여주고 시민들에게 안정감을 줘야 의약품 부족이 심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