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선 약국가를 뒤흔들고 있는 타이레놀 대란이 직능 갈등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업계에 따르면, 대한한약사회(회장 김광모)는 최근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한국의약품유통협회(회장 조선혜)에 타이레놀 공급 관련 협조 요청 공문을 보냈다.
공문을 통해 한약사회는 “지난 8일 식약처와 유통협회, 존슨앤존슨과 약사회가 아세트아미노펜 수급 안정화를 위한 회의를 개최했고, 이를 통해 타이레놀 재고분을 전국 약국에 균등하게 공급하기로 한 사실을 언론을 통해 확인했다”면서 “그러나 이번 타이레놀 1차 공급에서 많은 한약사 개설 약국이 배제됐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정부시책의 공공성이 훼손되고 이익이 특정 집단에게만 몰리는 상황을 앞두고 있다는 것이 이들의 지적이다.
이에 한약사회는 ▲타이레놀 1차 공급에서 한약사 개설약국이 다수 배제된 이유를 설명할 것 ▲공급 배제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지 알려줄 것 ▲이유를 파악해 한약사 개설약국에도 타이레놀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줄 것 ▲관련 피해에 대한 보상을 해줄 것 등을 요구했다.
한약사회 김광모 회장은 “이번 문제는 식약처와 약사회, 유통협회 그리고 제약사가 한약사를 제외한 회의에서 사안을 결정해 벌어진 일”이라면서 “기존에 타이레놀을 잘 공급받던 한약국에 문제가 생겼다는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약국에 대한 타이레놀 공급 문제는 지역약사회와 연관된 것으로 제보받고 있다”며 “일부 지역약사회를 특정할 수 없기에 대한약사회에 공문을 보내 이 상황을 해결해 달라고 요구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관련자인 유통협회와 식약처에도 공문을 발송했다”며 “식약처는 유통협회를 통해 한약국을 포함한 모든 약국에 타이레놀이 잘 공급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는 답변을 했다”고 전했다.
나아가 그는 “일부 약사단체에서도 한약국에 타이레놀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움직임이 있다는 제보도 이어졌다”며 “법적 다툼이나 더 큰 갈등이 아닌 원만한 해결을 위해 공문을 발송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한약사회는 공문이 잘못된 사실관계에 기반한 주장을 펼치고 있어 공식적인 대응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대한약사회 좌석훈 부회장은 “약사회는 타이레놀 공급 대책 관련 식약처와의 회의에 참여한 바 없다”며 “잘못된 사실관계를 기반한 주장으로 공문을 보낸 것이 매우 황당하다”고 밝혔다.
또한 “식약처에도 관련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아는데 정부가 강제할 수 있는 부분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공적마스크처럼 아예 고시를 개정해 공적타이레놀이라는 개념을 만들지 않는다면 정부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타이레놀 자체가 한약제제가 아닌 것이 명확하다”며 “한약국이 다룰 수 있는 의약품이 아닌데 공급을 요구하는 것 자체도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실제로 의약뉴스의 취재 결과 한약사회의 주장과는 달리 지난 8일 진행된 식약처와 유통협회, 제약사간 회의에 약사회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번 타이레놀 공급에 관해 약사회와 사전에 논의한 것은 없었다”며 “식약처가 유통협회에 재고 현황 등의 파악을 요청했고, 그 과정에서 제조사와 같이 대화하는 자리를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