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이전 일상 못 돌아간다” 중대본, 거리두기 속도 조절
상태바
“이전 일상 못 돌아간다” 중대본, 거리두기 속도 조절
  • 의약뉴스 김홍진 기자
  • 승인 2020.04.2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태호 반장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으로 국지적 방역망 구상 중”
국제방역협력총괄TF 구성...세계적 대유행 억제 위한 국제 협력 모색
정부가 5월 6일 '생활 속 거리두기'를 통해 '거리두기'를 일상 속으로 흡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생활 속 거리두기는 장기적 관점의 '거리두기' 시리즈로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 및 개인위생 수칙을 골자로 한 소규모 방역 대책으로 확인되고 있다.
정부가 5월 6일 '생활 속 거리두기'를 통해 '거리두기'를 일상 속으로 흡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생활 속 거리두기는 장기적 관점의 '거리두기' 시리즈로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 및 개인위생 수칙을 골자로 한 소규모 방역 대책으로 확인되고 있다.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대책으로 5월 5일 이후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 구성에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각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를 지정해 국지적 방역망 구축에 나설 전망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은 2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생활 속 거리두기, 집단방역 기본수칙 초안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개인방역 5대 기본수칙은 ▲아프면 집에 머물기, ▲두 팔 간격 거리두기, ▲30초 손 씻기, ▲기침은 옷소매, ▲거리는 멀어져도 마음은 가까이 등으로 구성됐다.

5대 기본수칙에 대한 4대 보조수칙(안)은 마스크 착용, 환경 소독, 어르신 및 고위험 생활수칙, 건강한 생활습관 등 4개가 제시됐다.

이 외에 공동체 내 방역관리자 지정이 포함된 집단방역 보조수칙 초안 역시 이번주 금요일부터 의견을 수렴한 뒤 생활방역위원회 검토를 거쳐 확정ㆍ배포한다는 계획이다.

중대본 윤태호 방역총괄반장은 “향후 각 공동체는 방역관리 책임을 담당하는 방역관리자를 지정ㆍ운영하고 향후 공개될 집단방역 보조수칙 세부지침을 참고해 공동체 방역지침을 만들고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방역관리자 기본 역할에 대해 “관리자는 구성원의 체온, 호흡기 증상유무 등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사업장 고용주와 구성원은 방역관리자 요청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다만 이 ‘공동체’ 범위는 추후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중대본 설명이다.

중대본 측은 “각 부처에서 소관 범위 별 수칙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에 따라 부처별로 공동체 범위를 결정, 세부 지침을 마련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렇지만 중대본은 공동체 범위가 결정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회사, 사업체를 비롯한 단발적 모임에서도 준수되기를 기대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아울러 중대본은 해당 수칙들 논의 중 전문가 및 대국민 의견수렴 과정에서 큰 이견은 없었으나 보다 구체적이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제도적 지원방안 요청에 따라 FAQ 등을 작성, 이해도 향상에 나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K방역 국제협력 강화방안, 농업 분야 코로나19 대응, 수산물 소비ㆍ수출동향 및 향후 계획 등 중대본 회의 논의사항에 대한 내용도 공개됐다.

이 중 ‘K방역’은 국제사회발 국내 방역 경험 전수요청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유관기관 협력으로 ‘국제방역협력 총괄TF’를 구성, 국제방역협력 채널 일원화를 통한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다.

최근 국내 코로나19 일별 확진환자가 10명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고 격리 중인 환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는 있지만 세계적 대유행 사태가 지속되는 만큼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국제적 위치를 선점하겠다는 수로 풀이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