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2 06:02 (화)
동아ST·삼성서울병원·메디포스트, 공동개발 협약
상태바
동아ST·삼성서울병원·메디포스트, 공동개발 협약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6.05.03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숙아 뇌실 내 출혈 줄기세포치료제…임상·생산협력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강수형)는 3일 오전 삼성서울병원 본관 대회의실에서, 삼성서울병원(원장 권오정), 메디포스트(대표이사 사장 양윤선)와 미숙아 뇌실 내 출혈(IVH, IntraVentricular Hemorrhage)에 대한 줄기세포치료제 공동개발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에 따라 동아에스티, 삼성서울병원, 메디포스트는 임상 및 생산협력을 통해 IVH 줄기세포치료제를 공동개발하고 동아에스티는 IVH적응증에 대한 전 세계 독점적 개발 및 판매 권리를 받는다.

늦은 결혼에 따른 고령임신과 인공출산으로 미숙아 출생률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1500만 명, 국내에서는 신생아의 6~7%인 3만~3만3000명의 미숙아가 태어나고 있다.

뇌실 내 출혈은 신생아 체중이 1.5kg 미만의 미숙아에서 약 10%의 비율로 발생하며, 영구적인 뇌 손상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가 있지만 아직까지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삼성서울병원의 연구책임자인 박원순, 장윤실 교수는 “저출산 시대에 어린 생명들에게 빛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미숙아 생존율 향상 및 예후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미숙아의 생존한계를 극복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디포스트 양윤선 대표는 “이미 미숙아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제 ‘뉴모스템’의 임상시험을 진행한 바 있어, 이번 연구도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강수형 사장은 “고령임신 및 저출산 시대에 탄생한 신생아에서 IVH발생할 경우, 사망 또는 생존하더라도 영구장애의 심각한 문제 발생하지만,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며 “이번 협약으로3개 기관이 협력해 IVH 치료를 위한 혁신적인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여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