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수면무호흡증, 꼭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상태바
수면무호흡증, 꼭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
  • 승인 2011.07.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혈관 이상 주요 역할은 물론...치명적 심장 상태 막기 위해서

수면 중 호흡에 있어서 일시적인 중단을 야기하는 상태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혈관 이상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가능한 치명적인 심장 상태를 막기 위해 치료되어야 한다고 버밍엄 대학 연구진이 최근 밝혔다.

미국심장협회에 따르면, 미국 내 약 1,500만 명의 성인들이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을 앓고 있다. 이 상태는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을 줄이면서, 혈관 기능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혈관 기능 장애는 앞선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번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108명의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혈관 기능을 관찰했다. 참가자들은 고혈압이 없는 중간 정도 혹은 심각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사람들, 수면 무호흡증은 없지만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 고혈압도, 수면 무호흡증도 없는 사람들로 나뉘어졌다.

조사 결과,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사람들은 수면 중 기도를 열어두는 장치를 이용한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를 26주 동안 받은 후 혈액 공급과 기능이 개선됐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환자들을 의사들이 치료하는 방법을 변화시킬 것이다.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건강한 환자들도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 손상 뿐 아니라, 소혈관과 큰 혈관의 이상을 나타내며, 이들은 CPAP 치료 요법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심장 질환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필수적이다. 이 상태는 치료될 수 있으며, 임상의들이 수면 무호흡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라고 전했다.

이 연구 보고서는 ‘Hypertension’에 게재되어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