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질서회복 하는데 주력"
상태바
"질서회복 하는데 주력"
  • 의약뉴스
  • 승인 2003.05.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대업 대한약사회 정보통신위원장( 부정 불량약 신고 센터장)은 "약업계의 정상적인 질서회복을 위해 작은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그는 "약의 생산자인 제약사와 소비자인 약사 그리고 환자간에 기본적인 네트윅 시스템이 깨져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 질서회복은 무얼 말하나요.

" 제약사는 약사에게 약사는 환자에게 약의 정확한 정보제공을 해야 합니다. 그 과정은 투명하고 한점 의혹이 없이 물 흐르듯이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리베이트나 이런 것은 질서에 반하는 것입니다."


-부정 불량약 신고센터는 물흐르듯 하나요.

"본격적으로 시작한 4월 이후 50여건의 신고가 들어왔어요. 유효기간이 지난 것을 스티커로 교묘하게 포장했거나 쪼개지거나 색깔이 변한 약 등에 관한 것입니다. 제약사수는 30여개에 이릅니다. 모든 내용은 서류로 받고 미공개는 없습니다. 철저하게 공개를 원칙으로 하니 자연스럽게 흘러가지요."

-어떻게 처리했나요.

" 해당 제약사에 공문을 보내고 해명을 듣고 시정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식약청에 고발할 것은 고발했고요.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센터 운영이 제약사들의 잘못을 끄집어내 벌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문제를 각자 인식해 더 좋은 관계개선을 위한 것이지요. 과거에는 간혹 문제 제약사에 대한 어설픈 뒷처리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은 그런 것이 없습니다. 원칙대로 일을 처리할 뿐이지요. 참고로 지난번 비엠에스 제약건을 경찰에 고발하지 않기로 한 것은 식약청이 원했기 때문이고 청은 경찰고발을 동시에 하는 것을 바라지 않았어요. 일부 언론에서 마치 비엠에스와 모종의 어떤 합의에 의해 경찰고발을 하지 않았느냐하는 의구심을 보냈을 때는 아쉬움이 컸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한 점 부끄러움이 없다는 것을 밝히고 싶어요."


-향정약건도 힘들었지요.

" 그런 과정을 거쳐 로스분을 조금이라도 인정받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 보람을 느낌니다. 일부에서는 왜 해당 제약사를 공개하지 않느냐고 말도 많지만 제약사를 죽이는 것이 우리 목표가 아닙니다. 애초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를 달성했다면 그것으로 만족합니다. 로스율을 인정받은 것은 좋은 결과 입니다."


-약사회무를 하면서 아쉬운 점은 없나요.

" 일부 임원들 가운데는 생색내기용 회무에 집착하는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어 팜파라치 건만 해도 조용히 일 처리 했으면 됐을 것을 자기 이름을 내세우기 위해 동네방네 소문 냈다가 해결된 것이 하나도 없잖아요. 만지면 자꾸 커지는 것이 있듯이 떠들어서 오히려 손해보는 것이 있어요. "


김대업 위원장은 "과시하려는 일부 임원들은 진정으로 약사회를 위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마음 속 깊이 새겨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뼈 있는 말을 덧붙였다. 한편 김위원장은 전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이라크에 2만 약사를 대표해 10여일간 봉사활동을 떠날 계획에 있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