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기종 서울시약사회 부의장(전 서울시약 부회장)이 감사보고 시간에 나섰다. 그는 “약정회비를 적법하게 사용했는지 감사 내용을 알고 싶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대해 감사단(곽순덕 이무남 주상재감사)은 “약정회비는 세입세출만 감사하고 용처는 따지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한석원의장도 “2003년 처음 운영된 약정회비는 약사회를 위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며 거들었다.
권태정 집행부에서 의약분업위원장을 지냈던 박규동 금천구약사회장은 “쓰나미 성금 등 이전에 걷었던 성금이 많이 남아있다”며 재난구호금으로 이름을 바꿔 처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따졌다.
그는 “목적성금을 그 목적에 사용하거나 회원에게 돌려주지 않으면 총회에서 인정했다 하더라도 문제가 된다는 것을 이번에 배웠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분회장으로서 회원들에게 성금을 거둘 수가 없다”고 말했다.
권태정 전 서울시약사회장이 이사회와 총회의 추인을 받고도 검찰에서 벌금 약식기소를 받은 것을 지적한 것이다.
답변에 나선 박인춘 재무이사는 “각종 성금이 계속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추가로 모금하는 것 보다는 쓰나미 성금 등 불가피하게 지출되지 않은 성금을 재난발생성금으로 돌리기로 지난 총회에서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병준 중랑구 약사회장(전 서울시 약국위원장)은 병원약사회의 회의 실적이 누락된 점과 1,640만원에 이르는 병원약사위원회 사업비가 어떻게 사용됐는지 따져 물었다.
회의 개최 등 구체적 사용처를 명시해 보고해야 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병원약사회는 원희목 회장을 공식지지하려다가 주변의 반발에 부딪쳐 실행하지 못했다. 또 정책단의 사업에 대해서도 제대로 감사가 됐는지 질문했다.
이에 대해 손인자 병원약사회장은 “병원약사위원회는 한국병원약사회의 사업과 겸하고 있다”며 “기록이 누락된 것이 문제라면 다음부터는 올리겠다”고 답변했다.
손회장은 또 “15억에 이르는 병약의 예산 중에서 대약의 지원은 1%정도에 불과”하다며 “이는 8,000만원에 달하는 대약회비를 내는 병약에 대한 당연한 배려”라고 설명했다.
1억 6,500여만원에 이르는 정책단 비용에 대해 직접 답변에 나선 원희목 회장은 “정책단은 정책실장의 인건비를 포함해 정책연구비 등에 지출했다”고 답변했다.
이날 나선 권태정 집행부 사람들의 질의와 문제제기는 개인적인 관심이라기보다는 서울시 회무활동에서 느꼈던 모순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원희목 집행부와 이에 따라가는 총회에 대해 제동을 걸겠다는 의도도 다분히 내포됐다는 것이 참석자들의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