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국회가 지방의료원의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441억 원의 추가경정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후유증으로 고사 위기에 내몰린 지방의료원 중 절반 정도가 올 연말 임금을 체불하는 등 최악의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현장의 경고가 나왔다.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김영완 회장은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정부와 국회가 팬데믹의 영웅을 토사구팽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먼저 김 회장은 이번 예산 삭감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와 연관 짓는 시각에 대해 “전혀 다른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 지방의료원의 위기는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사태의 직접적인 후유증이라는 설명이다다.
그는 “코로나 환자를 보기 위해 기존에 입원해 있던 환자들을 사실상 강제로 내보내야 했다"면서 "그 과정에서 환자들과의 신뢰 관계가 모두 깨졌으며, 이미 다른 병원의 단골이 돼 다시 돌아오기는 만만치 않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코로나 이전 3년(2017~2019년)과 비교해, 2024년 입원 환자 회복률은 68%, 올해 상반기에는 75% 수준에 그쳤다는 전언이다.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의 평균 병상 가동률은 60% 초반으로, 80%를 넘나들며 흑자를 내던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적자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23년 2400억 원, 2024년에도 16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김 회장은 “작년에 1600억 원으로 막을 수 있었던 것은 비상 진료 명목으로 국비와 지자체 지원이 있었기 때문으로, 지원이 없었다면 2400억 원 적자였다"면서 "올해 예상 적자 규모는 최소 1900억 원에서 최대 2300억 원 정도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재정 악화는 현장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전국 최고 수준인 80%대 병상 가동률을 회복한 우리 서산의료원조차 상반기에만 30억 원의 적자를 봤다”며 “속초, 청주, 부산, 강진의료원은 이미 상여금을 체불했고, 서귀포의료원도 6억 원을 체불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고 밝혔다.
이에 “최소한의 운영이라도 가능하게 해달라고 추경 예산을 요구했던 것”이라며 “보건복지위는 설득했지만, 예결위에서 단칼에 잘려나가니 맥이 풀린다”고 토로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지방의료원의 역할을 강조하며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그는 “지방의료원은 의료 취약계층을 돌보고, 감염병이나 재난 상황에서 가장 먼저 나서는 지역 필수의료의 기반”이라며 “코로나 때도, 울진 산불 때도 그 역할을 했는데, 그 기반을 최소한 유지할 수 있게는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