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2 11:25 (목)
연구소- 제약사 '선수금' 싸움 신약개발 장애
상태바
연구소- 제약사 '선수금' 싸움 신약개발 장애
  • 의약뉴스 박영란 기자
  • 승인 2006.12.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물질 연구 보상 VS 상품가치 믿을 수 없어 맞서
▲ 연구소와 제약사 간 선수금 논란이 신약개발을 저해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결국 신약개발은 돈과의 싸움이다.

한미 FTA, 약제비 적정화 방안, 지나친 내수 의존도에 따른 매출 감소 등 제약업체의 올 한해도 다사다난 했다. 이러한 안팎의 어려움을 타개할 돌파구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신약개발’.

신약개발은 엄청난 고부가가치를 창출, 위기에 놓인 제약산업을 구할 뿐 아니라 향후 국가경제성장의 원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신약개발 연구여건(연구비, 연구인력 등)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열악한 상황.

국내 제약업계가 어떻게 하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지 27일 보건산업진흥원 R&D사업단 의약한방팀 김민화 팀장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들어봤다.

국내 연구소 특허권, 기업으로 ‘이전’ 중요

보건산업진흥원 김민화 팀장은 신약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 학 연 등 각 기관별로 잘할 수 있는 분야를 나눠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과 출연연이 기초연구와 후보물질 도출연구과정을 맡으면 기업이 임상단계까지의 연구를 담당하는 식의 체계적인 역할분담이 필요하다는 것.

김 팀장은 라이선싱 인이나 라이선싱 아웃보다 국내 연구소 특허권의 기업으로의 ‘이전’을 더 비중 있게 보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소 특허권의 기업으로의 ‘이전’은 원활하지 못한 것이 현실.
왜냐하면 대학이나 출연연 연구원들과 제약사 간 ‘특허권 가격’을 둘러싼 입장 차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소 입장에서는 신물질을 연구한 만큼 특허권 선수금을 요구하는 반면, 제약사 측에서는 그 연구물질이 신약으로서의 상품성 여부를 아직 모르는 상태에서 요구하는 선수금을 모두 보상해 줄 수 없다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실제 세계시장에서 통하는 신물질 의약품 개발에는 통상 10~15년의 시간과 1,000~2,000억 원의 자금이 소요된다.신물질이 신약으로 이어질 확률은 5000~1만 분의 1.

수백 가지의 물질 중 후보물질을 찾은 후 동물실험과 1, 2차 임상실험을 거쳐 수천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3차 임상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좋은 기술과 신물질이 때로는 제약사에 ‘이전’되지 못한 채, 사장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연구 개발자들도 선수금이 얼마냐 보다는 매출증대에 따른 보상에 관심을 기울여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민화 팀장은 연구개발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항암제, 심혈관제 등 특정질환에 연구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제약사가 특정질환에 올인 할 경우, 시장의 흐름이 변하는 상황 하에서 만약 제품 출시 후 상품화되지 않으면 제약사 타격이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팀장은 “얼마 전 소위 신약대박을 터뜨린 동아제약 ‘자이데나’ 의 경우, 동아제약에서 발기부전치료제에만 올인 한 게 아니라, 다른 쪽 연구로 진행된 신물질이 우연히 발기부전치료제에 적용됐다.”며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했다.

정부지원, 민간펀드, 벤처캐피탈  활성화 절실

김 팀장은 국내 제약사 R&D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서는 제약사 자체도 R&D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무엇보다도 신약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외국의 사례처럼 ‘민간펀드’ 투자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국내 제약사 여건을 감안할 때 삼성 등 대기업의 지원이 절실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하라고 단순 강요할 수 없는 형국이다.

대기업도 BT산업에 시장성이 있다는 판단이 뒷받침돼야 투자할 것이란 얘기다.

김 팀장은 “다만 벤처캐피탈이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며 “이러한 부분이 강화돼, 제약사 신약개발에 투자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