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2 17:18 (목)
신약개발 전초기지 '국가신약개발위원회'시급
상태바
신약개발 전초기지 '국가신약개발위원회'시급
  •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승인 2006.1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약개발전문펀드 조성도 서둘러야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신약개발위원회를 구성하고 신약개발전문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주장은 15일 열릴 ‘약의 날’ 행사 중의 하나로 진행되는 제약유통 세미나에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석관연구원이 논문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김연구원은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발전 전략의 초점으로 ▲ 신약 vs. generic  ▲ 2A 전략 ▲ 3자 분업구조의 활용 ▲ 발견 연구 vs. 임상시험 등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아이템으로 신약과 generic 모두 가능하며, 신약에만 집중할 필요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 Bio-generic도 유망하다는 것.

이와 함께 ‘제휴를 통한 신약 개발’을 제안했다. 혁신의 국제적 분업구조 속에 '발견 연구'를 담당하는 R&D 제공자로 편입되는 전략이 현재로서는 유일한 신약 개발 전략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제약회사의 발견 연구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서 동원 가능한 유일한 요소는 대학과 출연연구소가 보유한 연구인력과 연구비기 때문에 3자 분업구조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김연구원은 주장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더불어 발견 연구에 특화하는 전략을 취한다면 제약회사의 임상시험비를 직접 지원하는 것보다는 임상시험 인프라를 확충하는 쪽으로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연구원은 우리나라에서 산학연 협력이 어려운 이유가 각자의 조직목표와 인센티브 구조의 차이에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업계는 단기적 수익모델을 추구하고 대학은 논문이 목적이고 개발의 성공 여부는 부차적이라는 것이다. 출연연구소는 PBS 시스템 하에서 연구비 수주 자체가 목적이어서 연구비 단가가 높고, 여러 과제 참여로 인해 연구 진도가 느리다는 것.

김연구원은 바람직한 산학연 협력 모델로 ▲ 단계별 역할 분담 ▲ 후보물질 발굴 단계의 공동연구 ▲ 학연에서의 스핀오프 ▲ 대학, 출연연 단위의 창업 등을 제시했다.

산학연이 각자 후보물질 발굴 연구를 하고, 학연의 연구 결과는 기업에 이전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또  공동연구팀을 구성해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전임상부터는 기업이 개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여기에다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자가 후보물질을 가지고 벤처기업을 창업한 후 투자를 모아서 후보물질에 대한 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고 있다.

김연구원은 정책 대안으로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 신약개발 전문 펀드, 국가신약개발센터를 제시하고 있다.

대학과 출연연구소, 벤처기업에서 나오는 연구성과들을 모니터하고 평가해서 다음 단계로 연계하는 역할을 국가신약개발전략위원회에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 신약개발 R&D의 중장기 방향 설정과 기획, 조정을 해야 한다는 것.

더불어 대학, 출연연, 벤처기업이 도출한 lead 단계의 물질 중 유망한 것을 발굴한 후 이것을 임상 초기까지 보육시켜서 해외 제약회사에 License-out하는 펀드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대학과 연구소, 벤처기업에서 발굴되는 신규 target이나 후보물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후속 연구를 진행시키는 항구적 조직으로 국가신약개발센터를 설립해야한다는 제안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