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약사에 대한 조사가 연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조사의 목적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공정위는 최근 한올제약과 삼일제약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고, 19일 오전부터 한미약품과 중외제약의 조사를 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일부에서는 공정위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가 제약사들의 판매관리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연일 분위기를 몰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의약뉴스는 이번 조사와 관련, 논란이 일고 있는 판관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주요 상위 제약사들의 판관비 비중에 대해 조사했다. <우측 박스물 자료실 참조>
하지만, 조사결과 결과적으로 이번 공정위의 조사와 판관비와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현재 조사가 진행됐거나 조사가 진행 중인 업체의 판관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근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
특히 한올제약과 한미약품의 경우 50% 안팎의 높은 판관비 비중을 보이고 있는 반면, 삼일제약과 중외제약은 30%중반대의 비중으로 제약사 평균 또는 이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19일 국내 상위 22개 제약사의 지난해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상 제약사의 지난해 매출액 대비 판관비 비중은 평균 38.68%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지난해 매출 상위 국내 20개사에, 앞서 공정위 조사가 진행된 한올제약과 삼일제약을 포함시켰다.
분석결과, 대상 제약사 가운데 LG생명과학이 53.59%로 가장 높았으며, 이번 공정위 조사대상에 포함된 한올제약과 한미약품이 각각 52.42%와 49.56%로 뒤를 이었다.
이어 ▲태평양제약(48.38%) ▲동아제약(47.56%) ▲일동제약(45.82%) ▲보령제약(44.68%) ▲삼진제약(43.26%) 등이 40%가 넘는 판관비 비중으로 평균을 상회했다.
반면, 이번 공정위 조사대상에 포함된 삼일제약과 중외제약은 각각 37.84%와 34.17%로 평균을 약간 하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는 공정위의 이번 조사가 일부의 주장대로 판관비에만 초점을 맞췄다기보다는, 판관비를 포함하는 제약사의 관행, 행태 등 제약산업 전반의 실태파악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공정위의 발표에 보다 무게 중심이 실린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이날 이번 조사를 지휘하고 있는 공정위 경쟁제한규제개혁작업단 유희상 단장은 의약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제약사 실태조사는 제약산업 전반의 경쟁제한적 요소와 관련, 잘못된 규제 내용과 관행, 행태 등을 파악,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업계 일각의 추측을 일축했다.
이어 “아직 구체적인 조사 대상과 내용은 밝히기 어렵지만, 적어도 12월까지는 조사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단순 조사가 아닌 제약산업 전반에 대한 조사임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조사대상 업체 관계자는 “이번 조사가 판관비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내용으로 알려지면서 업체 이미지에만 악역향을 끼치고 있다”면서 “향후 조사대상 업체들을 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겠지만, 제약산업의 잘못된 규제 내용 등과 관련된 통상적인 조사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조사가 진행된 한올과 삼일의 경우, 판관비 등에 대한 조사는 물론, 정책, 유통 등 업태 전반적인 내용의 조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