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만6000 전공의들의 대표를 선출하는 대전협 선거활동이 마감되고 본격적인 투표활동이 7일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기호 1번 최상욱 후보와 대전협 집행부간의 갈등은 수그러 들지 않고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
이번 논란은 최 후보 측에서 현 집행부가 선거 관리를 하는 것에 대한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비롯됐다.
최 후보는 "선거기간 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이자 대전협 사무실에 참관인을 상주시킬 것과 사무국 직원들의 선거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비디오실 설치를 요구했다.
그러나 선관위가 ‘인권 침해’ 등을 거론하며 이 요청을 거부하자 ‘대전협 회원에 한해 1인만 둘 수 있다’는 세칙을 제정하면서 최 후보는 지난 1일 대전협 회원이 아닌 참관인 2명과 함께 선관위 사무실에 입실, 자정까지 퇴실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선관위는 “선거관리 위원회의 결정 사항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세칙을 어겼다”면서 2일 오전 경고조치를 내렸으나 최 후보 측은 아직도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최 후보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참관인을 굳이 일과에 바쁜 전공의 회원으로 제한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하면서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후보 측은 또 “우리 측 추천인은 한 명도 들어가지 않은 채 한 쪽 후보 측 인사들로만 선관위를 채우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선관위 측은 “홍보물이 배포되지 않아 공약을 제대로 알리지도 못한 상황인데 선관위에게 부정선거라는 오명을 씌우며 불신하는 최 후보의 태도는 이해하기 힘들다"며 강력하게 대응할 것을 밝혔다.
이에 대해 최 후보는 “선거 세칙에 특별한 불만을 품지 않는다는 기호 2번 이학승 후보는 현 집행부를 이어나가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면서 “부조리의 연속인 대전협의 폐단을 씻어 올바로 구축해 나가야한다”고 열변을 토했다.
대전협 선거 세칙에 따르면 경고 3회 이상을 받으면 후보자 자격이 박탈되는데 이미 최 후보에게는 1회의 경고 조치가 내려진 상황이다.
이번 대전협 회장 선거는 이처럼 후보 간 경쟁보다 ‘대전협 집행부와 최상욱 후보간의 마찰’이 더 관심을 끌고 있다. 한편 선거판세는 부조리의 연속인 대전협의 올바른 구축을 강조하는 최 후보 보다는 기존 집행부의 사업에 연속성을 갖고 운영하겠다는 이 후보가 약간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뚜껑은 열어봐야 알 수 있어 선거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