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의과대학 개강이 약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휴학생들의 복귀에는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여전히 의대 증원으로 시작한 의료개혁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휴학생들의 복귀를 유인할 정책도 부재하다는 지적이다.
이 가운데 교육부가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전담 부서를 신설,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의대 정원 확대 계획을 발표하자 이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일제히 휴학을 신청했다. 이에 교육부는 지난해 10월, 올해 1학기 복학을 전제로 조건부 휴학을 승인했다.
혼란 속에 다음 달 중순이면 2025학년도 개강이 시작된다. 그러나 여전히 의대 휴학생들의 복학에는 부정적인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부가 의료계와 대화 없이 일방적으로 의대 증원 확대를 결정하고 추진한 상황에서 의대생들이 돌아올 요인이 적다는 지적이다.
의료계 관계자 A씨는 “지금 상황을 보면 의대생들이 과연 학교로 돌아올 수 있을지 알 수 없다”며 “당장 다음 달 중순부터 의대 수업이 시작되지만, 정부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난 학생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의대 증원이 의료계와 타협 없이 이뤄졌고, 정부의 자세가 바뀔 기미도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며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할 요인도 없어 상황이 바뀌길 기대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 문제를 담당할 전담 부서를 신설,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일 의대교육지원관을 신규 편성, 의대 학사 일정과 의대 운영 지원, 의대 정원 등의 업무를 전담하도록 한 것.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 차원에서 의대 증원과 집단 휴학 관련 업무들을 처리하기 위해 지난 1일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며 “이 조직을 중심으로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과 관련한 대책들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조직이 구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의대생들의 복학 관련 내용들은 답변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한편,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에 따른 여파로 의료 현장에 여러가지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현살화하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 B씨는 “지금 직면한 문제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이지만, 이를 시작으로 의사 국시 응시와 전공의 지원도 급감할 수 있다”며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이 연쇄적으로 문제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당장 행정부의 수장이 없고, 정국이 불안한 상황에서 정부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연쇄적으로 터질 문제들에 대비하는 모습이 필요한데, 정부의 대책이 보이지 않아 한숨만 나온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