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제주도 등 섬 기반 지자체들로부터 의약품 드론 배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50개 지역에서 시행한 2024년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음식물, 특산물, 사무용품 등을 드론을 통해 필요한 곳으로 전달하기 위해 총 2993회 배송 작업을 실시했다.
드론 배송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식별장치를 부착, 지정된 배송로를 통해 진행했으며, 철저한 안전관리를 바탕으로 사업 기간 동안 한 건의 인적ㆍ물적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이에 국토부는 “앞으로 드론 배송 서비스 모델 확대와 배송 물품의 다양화를 통해 드론 배송이 더욱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의 드론 상용화 사업이 마무리되는 과정에서 일부 지자체들은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제한된 의약품 드론 배송을 허용해서 지역 주민의 불편을 해결해 달라는 것.
국토부 관계자는 의약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드론 상용화 사업 과정에서 섬 지역 지자체들로부터 많은 요청이 들어왔다”며 “가장 많았던 요청은 약 배송 제한 해제였다”고 밝혔다.
이어 “섬 지역 주민들에게는 음식물이나 생필품 이외에 의약품도 드론 배송을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강하게 전달해왔다”고 설명했다.
일부 지자체들은 약사회의 반대로 의약품 드론 배송이 제한되는 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는 전언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일부 지자체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들며 의약품 드론 배송을 제한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며 “미국은 아마존이 드론으로 약을 배송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왜 이를 하지 못하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섬 지역을 중심으로 의약품 드론 배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약사사회에서는 이를 해결할 대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약업계 관계자 A씨는 “최근 공개된 자료를 보면 아마존이 드론 배송을 바탕으로 의약품 분야에서 작년 대비 6억 달러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뤘다”며 “2일 이내 처방 약 배송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도 매우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에서 적극적으로 의약품 드론 배송이 상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앞으로 비슷한 요구가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며 “약사사회가 원론만을 고집해서는 사회적 설득력을 잃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는 약국 환경이 다르다는 주장에 머물 것이 아니라 약국이 없는 무약촌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약업계 관계자 B씨는 “미국의 사례를 제시하면, 약사사회에서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의료 환경, 약국 환경이 다르다고 반론한다”며 “이 논리로 비대면 진료와 약 배송 문제를 막고 있지만, 드론 문제는 상황이 다르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의약품 드론 배송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지자체들은 주로 약국이 없는 산간지역 혹은 섬 지역”이라며 “이들은 의약품 접근성이 떨어지는 상황에 방치됐기 때문에, 이를 풀기 위해 드론 배송을 요구하는 것으로, 기존의 논리로는 반대 의견을 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약사사회가 정부와 협의해 무약촌 문제를 풀지 못하면, 의약품 드론 배송을 계속 반대하긴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