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5+4 의정협의체 두고 대통령실-의료계 딴소리 "언론호도" 공방
상태바
5+4 의정협의체 두고 대통령실-의료계 딴소리 "언론호도" 공방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4.04.25 0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통령실 "정부와 1대 1 대화 원해 제안"...인수위ㆍ비대위 “제안받은 적 없다” 일축

[의약뉴스] 대통령실에서 의료계에 비공개로 제안했다는 ‘의정협의체’에 대해 의협에서 ‘제안받은 적 없다’고 일축했다.

회장직 인수위원회는 물론, 의협 비대위도 협의체를 구성해 대화하자는 제안을 받은 게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은 23일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의료계 인사 5명과 정부 측 인사 4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장 수석은 “대통령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위원장과 만나는 등 정부가 의료계와 대화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접촉을 시도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다”며 “의료계에서 정부와 1대 1 대화를 원한다는 주장이 있어, 정부가 일주일 전부터 ‘5+4 의정협의체’를 제안했지만 이를 거절해 유감”이라고 전했다.

또한 “정부는 의정갈등 해결하기 위해 의협, 전공의, 의대생, 교수단체 등 의료계와 정부로만 구성된 협의체를 제안했지만 원점 재검토만 말하며 1대1 대화를 거절했다”며 “의료계는 지금이라도 대화의 장으로 나와 건설적인 논의가 진행되도록 협조해달라”고 호소했다.

장 수석이 언급한 의정협의체는 대한의사협회와 전국의대교수협의회,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대ㆍ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등 5개 단체와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과 대통령실 장상윤 사회수석비서관, 국무조정실 박구연 국무1차장, 교육부 오석환 차관이 참여하는 형태로 알려졌다. 

▲ 의협 비대위 김성근 언론홍보위원장
▲ 의협 비대위 김성근 언론홍보위원장

그러나 의협은 5+4 의정협의체 구성을 제안 받은 적이 없다며 장 수석의 발언에 의문을 제기했다. 

제42대 의협 회장직 인수위원회(위원장 연준흠)는 보도자료를 통해 “공식ㆍ비공식적 제안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정부는 대체 누구에게 의정 간 1대 1 대화를 제안했는지 공개적으로 질의한다”고 밝혔다.

인수위 관계자는 “만일 의협이 아닌 다른 단체에 제안해 거절당한 것이라면 왜 법정단체인 의협에 제안하지 않은 것인가”라며 “정부는 계속 창구 단일화를 요구하면서 정작 의료계의 목소리를 흩트리는 건 정부 아닌가”라고 반발했다. 

이어 “정부가 의료계에 1대 1 대화를 제안했다고 국민을 호도하는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진정으로 의료계와 1대 1 대화를 원한다면 25일 출범할 의료개혁특별위원회부터 폐지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정부의 모든 제안은 반드시 의협으로 창구를 단일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택우) 역시 정부로부터 협의체 구성을 제안 받은 적 없다고 일축했다.

의협 비대위 김성근 언론홍보위원장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2월 비대위 출범 이후부터 정부의 대화 요청이 있었다”며 “하지만 결정할 수 있는 자리여야지, 결정권이 없는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주부터 정부에서 협의체를 언급하는데, 이름을 잘 짓는 것 같다”며 “비대위에게 그런 식으로 대화를 제안한 적은 없고, 5+4라고 하는데 5가 뭔지 잘 모르겠다”고 전했다.

또 “비대위는 명확하게 요구사항을 전했고, 이를 정해놓지 않고 만나는 건 의미가 없다”며 “현재 전공의들에게 내려진 부당한 행정 명령을 취소해야 정부 입장에 변화가 있다는 긍정적인 시그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런 부분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정부의 기조에 변한 것이 없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평가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부당한 행정명령을 취하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