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2 17:18 (목)
"코로나 이후 방역체계 고도화 위한 연구 투자 필요"
상태바
"코로나 이후 방역체계 고도화 위한 연구 투자 필요"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23.10.04 0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입법조사처..."질병청, 컨트롤 타워’ 역할 맡아야"

[의약뉴스] 코로나19에 이은 신종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해 다학제적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질병청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등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이슈와 논점’에 ‘수학적 모델ㆍ 기반 AI 19 코로나 대응의 성과와 과제-다학제적 감염병 연구개발 사업의 국내외 현황 및 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사스, 메르스 등을 겪으며 우리나라의 방역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방역 당국과 의료기관, 지방자치단체, 국민 간 감염병 위기소통이 원활하지 않았으며, 방역현장의 애로사항 및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수요를 반영한 연구개발 역시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국가방역체계 강화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8년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다부처 연구사업을 추진했다.

2022년까지 진행된 제1기 사업에선 ▲한국형 Bio-surveillance 통합 감시정보망 구축 및 인공지능기반 신속 경보 시스템 개발 ▲백신 이상 반응 능동 감시체계구축 및 백신 이상반응 예방을 위한 지침개발 ▲다중진단(4분류 질환) 간이 키트 및 판독기기 시제품 개발, 4분류 질환 신속(2시간 이내) 선별유전자기반분자진단시스템개발 등을 중점과제로 추진했다.

이 과제는 오는 2027년까지 제2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제2기 사업의 목표는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감시 다양화(다각화), 예측ㆍ차단 지능화 신뢰성 높은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ㆍ검증 기반 고도화 등으로, 8개 정부 부처의 출연금 46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제1기 사업의 중점과제(왼쪽)와 제2기 사업의 세부 사업명과 주관부처.
▲ 제1기 사업의 중점과제(왼쪽)와 제2기 사업의 세부 사업명과 주관부처.

이와 관련, 입법조사처는 “앞으로 신ㆍ변종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방역 현장의 수요에 기반한 방역 전주기 활동과 연계된 기술 고도화가 필요하다”며 “연구개발 사업은 국가통합감시나 성능평가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므로 국가주도형으로 추진하고, 방역 현장을 담당하는 부처와 개발된 기술이 현장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정보 등의 임무를 맡은 각 부처와 공동으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공성이 높은 연구는 연구개발과 현장 간의 간극과 부처별 역할 구분 등에 따른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것이 입법조사처의 설명이다.

이렇게 개발된 연구들은 실제 코로나19 예측에 활용됐는데, 감염병 발생 시 감염자 수, 접촉자, 회복 집단 등 각 변수 상황에 적절한 수를 대입, 감염 인구를 예측하는 감염병 예측 수리모델이 그 사례다.

입법조사처는 “수리 모델이 구하는 답은 재생산지수로, 기초감염재생산수(R0)는 감염이 없는 집단에서 발생한 첫 감염자가 평균적으로 감염시킬 수 있는 환자 수를 나타내는데, R0가 1보다 크면 유행할 가능성이 있고, 1보다 작으면 질병이 집단에서 서서히 소멸한다는 것”이라며 “코로나19 유행 양상 예측 수리모델은 신규 확진자 수를 추정하고 중증도별 필요 자원을 추계할 수 있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신종 감염병 대응시스템에는 인공지능이 결합됐는데, ▲전파경로 모델 ▲공간 내 감염 전파 양상 모델 ▲공동체 내 감염 유행 예측 모델 ▲지역별 빅데이터 기반 시각화 기술 ▲감염병 위험지수 등을 개발할 수 있다.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인공지능 분석 역량과 질병관리청의 역학 분석 역량이 결합, 과학적 근거들을 생산했다”며 “코로나19 확산 감소와 국민 경제활동 제한 등의 영향을 분석했고, 이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선제적 대규모 진단검사 등 정부 방역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입법조사처는 앞으로의 개선과제로 ▲전문성 및 연구역량 강화 ▲질병관리청의 컨트롤타워 역할 수행 등을 제안했다.

입법조사처는 “2018년 시작된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사업’에서 축적된 기술ㆍ지식이 코로나19 방역 정책 수립에 활용됐으며, 이는 감염병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은 과학적 근거에 기초해 공중보건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 권한을 행사하는 전문성 높은 기관”이라며 “감염병 위기 대응 선진화ㆍ고도화를 위해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전문인력 채용 및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질병관리청이 연구개발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방역 현장에서 역학전문가가 파악한 기술 수요를 중심으로 연구 기획 및 연구 주제의 유용성에 대한 사전 검토가 이뤄저야 한다”며 “‘방역연계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사업 운영관리규정’의 소관부처를 질병청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신종감염병 출연 주기가 짧아지고 있고, 코로나19와 유사하게 팬데믹 수준의 유행양상을 보이는 신종감염병이 머지않아 출현할 것”이라면서 “신종감염병은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 확진자가 폭증하지 않도록 방역정책을 시행,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는 초기 단계 대응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방역 주관 부처인 질병관리청 주도 하에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융합적 연구개발에 선제적 투자가 꾸준히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