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비대면 진료 법제화와 관련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약 배달에 대해서는 어떠한 말도 나오지 않고 약사사회가 혼란스러운 모습이다.

이에 약사사회 일각에서 대한약사회가 나서 지향하는 방향을 밝히고,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정치권에서는 여당을 중심으로 비대면 진료 법제화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여기에 여야 의원들이 스타트업과 전문가 단체의 갈등을 조율하고자 출범한 유니콘팜에서도 비대면 진료 관련 의료법 개정안을 발의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처럼 비대면 진료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약 배달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어 약사사회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비대면 진료 체계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약 배달이지만, 어느 방향으로 나아갈지 알 수 없다는 우려다.
국회 관계자는 “아직 약사법 개정에 대해서는 추진된 바 없다”며 “비대면 진료에 모두 집중하고 있고, 이후에 약 배달 관련 논의가 시작될 수 있다 본다”고 밝혔다.
이처럼 약 배달과 관련된 논의가 미뤄진 상황에서 대한약사회가 선제적인 움직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의료계가 기조를 발표한 뒤 이를 중심으로 의정협의체를 통해 복지부와 조율에 나선 것처럼 약사회도 비슷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약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와 관련해 의료계가 어떻게 준비해왔는지 주목해야 한다”며 “의료계가 재진 환자 대상, 1차의료기관 중심이라는 기조를 가지고 이를 토대로 논의를 진행했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약사회도 아직 약 배달 논의가 시작되지 않았으니 먼저 움직여야 한다”며 “약 배달에 대해 어떤 구상을 가지고 있는지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약사회만의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약사회가 약 배달에 대한 의견을 빨리 공개하지 않으면 복지부에 끌려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비대면 진료 관련 논의가 종료된 이후, 약 배달이 부가적인 수단으로 전락한다면 약사회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폭이 좁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약업계 관계자는 “비대면 진료 관련 협의가 끝나기 전에 약사회가 모든 준비를 마쳐둬야 한다”며 “타협할 수 없는 원칙을 명확히 정해두고 이를 대외적으로 발표하지 않으면 복지부에 끌려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지난 2월에 나왔던 복지부 차관의 인터뷰 내용 등을 보면 약 배달은 비대면 진료에 따라가는 것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선 약사회가 선제적으로 움직여서 기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약사회가 꾸준히 비대면 진료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아직은 부족하다”며 “더 구체적인 요구사항이 나와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