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약사회가 보건복지부와 약정협의체가 열린다면 비대면 진료에 대한 논의를 최우선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약사회는 아직 복지부로부터 비대면 진료와 관련해 어떠한 계획과 구상도 공식적으로 전달받지 못한 상태에서 제대로 된 논의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의료계와 복지부는 어제(30일), 첫 번째 의료현안협의체 회의를 열었다.
이후 복지부는 기자 브리핑 과정에서 약정협의체를 열 뜻이 있다고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료현안협의체 외에도 보건의료발전협의체, 이용자협의체 등이 있다”며 “약사회와 약정협의체를 꾸려 약무 현안도 논의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복지부가 약정협의체를 통한 약무 현안 논의 의사를 밝히자 정부와의 대화를 원했던 약사회는 환영할 일이라는 반응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그동안 약정협의체를 통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뜻은 여러번 전달해왔다”며 “만나서 심도깊은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좋은 일”이라고 밝혔다.
약사회가 이와 같은 반응을 보인 이유는 지난 2019년 약정협의체 다양한 약사 현안을 복지부와 논의하기 위한 회의의 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지만, 정부의 반응이 없어 이뤄지지 못했었기 때문이다.
현재 약사회와 복지부는 비대면 진료 과정에서의 약 전달, 전문약사 과목과 약료 개념 포함, 의약품 품절 사태 등 논의할 약무 현안이 산재한 상태다.
이처럼 다양한 약무 현안 중 약사회는 비대면 진료와 관련한 논의를 최우선으로 진행할 생각이라는 것.
약사회 관계자는 “약정협의체가 만약 꾸려진다면 가장 시급한 안건으로 비대면 진료를 올릴 것 같다”며 “비대면 진료 과정에서 약 전달을 어떻게 할 계획인지, 어떤 구상을 복지부가 하고 있는지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약사회는 아직까지 복지부로부터 어떠한 공식적인 설명을 들은 바 없다”며 “약사회는 대면 투약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뜻을 전하려 하는데, 그러려면 복지부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현안이 있는 상황이지만, 비대면 약 전달은 전반적인 체계가 바뀔 수 있는 일”이라며 “그렇기에 꼭 복지부와 비대면 진료와 관련된 대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처럼 약사회가 비대면 진료에 대한 논의를 강조한 것은 최광훈 회장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약업계 관계자는 “최광훈 회장이 올해 중점 사업으로 강조한 것은 바로 비대면 진료였다”며 “비대면 진료에서 파생된 여러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가 숙제라고 말할 정도로 관심을 보였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계는 비대면 진료를 후순위 안건으로 미뤘지만, 약사사회는 전반적인 체계가 붕괴될 수 있다는 공포를 느끼고 있다”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약사회가 1순위 안건으로 비대면 진료를 꼽은 것 같다”고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