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한미약품 HM15136, 국가지원 신약개발사업 선정 外
상태바
한미약품 HM15136, 국가지원 신약개발사업 선정 外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1.11.08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미약품 HM15136, 국가지원 신약개발사업 선정

▲ 한미약품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Glucagon Analog(HM15136)가 국가신약개발재단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 한미약품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Glucagon Analog(HM15136)가 국가신약개발재단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한미약품이 개발중인 혁신적 희귀질환 치료제가 글로벌 성과 창출을 위한 국가지원 신약개발 사업에 선정됐다. 

한미약품(대표이사 권세창ㆍ우종수)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Glucagon Analog(HM15136)가 국가신약개발재단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제약기업과 학·연·병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바탕으로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지원하는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이번 선정으로 한미약품에는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글로벌 임상과 제품화 연구를 위해 24개월간 국가 연구비가 지원된다.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은 2만5000~5만명당 1명 꼴로 발병하는 희귀질환으로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가 없어, 환자들은 부작용을 감수하며 허가 이외의 의약품을 사용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존해왔다. 

LAPSGlucagon Analog는 세계 최초 주1회 투여 목표로 개발중인 지속형 글루카곤 유도체로, 바이오 의약품의 약효와 투여 주기를 늘려주는 한미약품의 독자적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 가 적용돼 체내 포도당 합성을 촉진하는 글루카곤의 짧은 반감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능을 갖고 있어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등 저혈당 희귀질환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LAPSGlucagon Analog는 지금까지 진행됐던 임상에서 기존 글루카곤 약물 대비 안정성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심각한 저혈당을 보이는 모델에서도 지속적으로 정상 혈당이 유지되는 효과가 확인됐다.

이런 우수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FDA와 유럽 EMA는 2018년 LAPSGlucagon Analog를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으며, 이어 2020년 EMA는 인슐린 자가면역증후군 희귀의약품으로, FDA는 소아희귀의약품(RPD)으로도 지정했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글로벌 상용화를 위해 출범한 국가신약개발재단이 한미약품 희귀질환 신약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결과로, 보다 역동적으로 신약개발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며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중인 미국 임상 2상에서 혁신 성과를 입증해 치료제가 없는 미충족 희귀질환 분야의 세계 최초 치료제로 상용화될 수 있도록 개발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광동제약 ‘윤리경영 골든벨’ 개최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은 임직원의 윤리의식 제고를 위해 ‘윤리경영 골든벨’ 행사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이 행사는 임직원 참여를 유도해 평소 윤리경영을 생활화하고 관련 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광동제약은 지난 2018년부터 매년 한 차례씩 임직원 참여형 윤리경영 공모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4회차를 맞아 그간 전사적으로 진행했던 윤리경영 관련 활동과 회사 규정, 상식 등을 ‘골든벨’ 형식의 퀴즈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사측이 제시한 윤리경영 퀴즈 문제에 대해 임직원이 답변을 채워 제출하는 방식이다. 퀴즈 형식으로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고, 고득점자에게는 상금도 제공해 관심을 이어간다는 목표다.

출제된 문제는 광동제약의 ‘윤리경영 뉴스레터’와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게시판에 게재된 콘텐츠로 구성됐다. 

광동제약은 지난 2016년부터 매주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윤리경영 뉴스레터를 발송하고 있다. 각종 뉴스와 웹툰, 퀴즈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윤리경영과 관련된 소식을 전하며 임직원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컴플라이언스 게시판에서는 업무 상 준수해야 할 윤리규정에 대한 안내와 교육자료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제공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 응모한 한 직원은 “회사차원에서 준비한 윤리경영 준수 프로그램에 꾸준히 참여하고 있다”며 “몇 년째 반복하다 보니 이제는 업무 중에 규정을 위반한 것은 없는지 습관적으로 확인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광동제약은 정도경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직원들이 직접 예방과 개선과정에 참여하는 부패방지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부패방지소위원회를 만들고 대표이사 명의의 임명장을 수여했다. 

이외에도 신입사원 및 승진자 교육과정에 윤리경영·CP 교육을 필수과목화 하고, 공정거래법 준수를 위한 실무자 교육과 캠페인을 진행하는 등의 노력도 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오는 11일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 개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11월 11일(목)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2021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을 개최한다.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은 보건산업의 국내외 최신 동향 및 혁신사례, 미래전망과 발전방안 등을 한 곳에서 조망하고 유관업계 종사자들과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포럼이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은 ‘위드 코로나 시대의 헬스케어 혁신’을 주제로 하여 기조강연과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의 역할,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 기술 혁신,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 트렌드의 최전선 등 총 3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기조강연은 The Medical Futurist Institute 버탈란 메스코(Bertalan Mesko) 이사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이 가져올 미래의 모습'을 주제로 강연한다. 

두 번째 기조강연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글로벌 최고의료책임자인 데이비드 류(David C.Rhew)가 ‘디지털 헬스 산업의 글로벌 트렌드와 기회’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기조강연 후 1세션은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된다. 유경호 한림대성심병원 병원장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병원’을, 권준수 서울대학교 정신ㆍ뇌인지과학과 교수가 ‘코로나 블루와 디지털 헬스케어’를, 조양제 아이진 연구소 기술총괄대표가 ‘국내 개발 코로나19 mRNA 백신 EG-COVID’를, 윌리엄 헐(William Hearl) Immunomic Therapeutics Inc. 대표가 ‘차세대 백신: 예방에서 치료까지’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2세션은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 기술 혁신’를 주제로 혁신기업들의 사례발표가 진행된다. 

먼저, 김도형 뉴아인 대표이사가  ‘디지털헬스케어와 전자약’을, 채용욱 룩시드랩스 대표이사가 ‘VR 헬스케어와 뇌과학, 그리고 메타버스’를,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이사가 ‘인공지능과 헬스케어: 인공지능 뇌질환 진단기술’을, 박명규 힐스엔지니어링 대표이사가 ‘AI로봇기술과 헬스케어’를 주제로 사례를 발표한다. 

강연 이후에는 김주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보의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이 참여해 오픈토크를 펼친다.

3세션은 ‘위드 코로나 시대, 헬스케어 트렌드의 최전선’을 주제로 진행된다. 김종엽 건양대학교병원 헬스케어데이터사이언스센터장이 ‘코로나 시대 속 AI와 빅데이터 전략’을, 강성지 웰트 대표이사가 ‘의사과학자 양성 전략’을, 휘 수(Hui Xu) Pharmaron Clinical 사업개발부문 CBO(사업총괄대표)가 ‘바이오헬스 산업동향: 중국의 바이오테크 현황’을, 윤진수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사업본부장이 ‘보건산업 분야 국내 ESG 현황’을 주제로 강연한다. 

이어서 진행되는 ‘2021 보건산업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포럼의 모든 일정이 종료된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지침에 따라 진행되며, 홈페이지 사전등록을 거쳐 현장참석 또는 온라인 유튜브 생중계(www.youtube.com/user/chosunbiz)를 통해 온라인으로 참석할 수 있다.

참가 등록문의는 2021 헬스케어 이노베이션 포럼 운영사무국(02-724-6157, event@chosunbiz.com)으로 하면 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행사 홈페이지(https://e.chosunbiz.com/tc-events/2021-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를 참고하면 된다.

 ※ 문의 : 진흥원 보건산업혁신기획팀 정주석 연구원 ☎(043)713-841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