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병원약사회 이영희 회장이 코로나19 지역 예방접종 센터에 약사를 배치해야 하는 이유를 역설했다.
이 회장은 29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병원약사회의 지난해 성과와 올해 사업 방향에 관해 설명하고,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병원약사회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TF를 구성, 지역 예방접종센터 내 약사 배치를 추진하고 동시에 백신 접종 과정에 참여할 약사들을 위한 교육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영희 회장은 기자간담회에서 병원약사회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과정에 약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지역 예방접종센터에 약사 배치를 요구하는 가장 큰 이유로 기존 예방접종과의 방식 차이를 꼽았다.
이영희 회장은 “이전 독감 백신 접종과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큰 차이가 있다”며 “기존 백신 접종은 1회분을 주사기에 담은 완제품을 주사하는 방식이지만, 코로나19 백신은 바이알에서 1회분을 추출해 접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람이 직접 약을 추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용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이외에도 이물질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기에 약사의 이중점검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백신 접종에서 1순위는 약물임을 강조하며 약물 관리자로 약의 전문가인 약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백신 접종에서 의사의 예진 등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약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약을 소중히 다뤄야 하는 현 상황에서 정부가 약물 관리자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화이자 백신 같은 경우 냉동된 약물을 해동하고 희석하는 작업 등이 필요하다”며 “이런 복잡한 과정을 제한된 인력인 의사와 간호사만으로 문제없이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약사 배치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국병원약사회와 대한약사회의 지속적인 요구에 수원시와 경기도 등 일부 지자체는 중앙 예산이 아닌 지자체 예산을 통해 지역 백신 접종 센터 내 약사 배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영희 회장은 “현재 일부 지역에서는 백신 접종 과정에서의 약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며 “중앙정부 예산이 아닌 지자체 개별 예산으로 약사 배치를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