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권준수)는 구랍 31일 환자가 휘두른 흉기에 유명을 달리한 강북삼성병원 故 임세원 교수에 애도하는 성명을 1일 발표했다.
또한 2일에는 유족들의 의견을 담고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2차 성명서도 배포했다.
우선 이들은 1차 성명서를 통해 청천벽력 같은 비보에 애통하고 비통한 감정과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다면서 유족, 동료들과 고통을 함께 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고인에 대해서는 스스로가 우울증의 고통을 경험한 치유자로서, 본인에게는 한없이 엄격하면서 질환으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을 돌보고 치료하고 그들의 회복을 함께 기뻐했던 훌륭한 의사이자 치유자였다고 소회했다.
이어 다시 한 번 고인과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드리는 바이며 별도의 추모과정을 통해 고인을 뜻을 애도하고 기억하는데 마땅한 일을 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정신과 환자를 위해 일하는 모든 이들이 겪을 수도 있는 비극이었다며, 이러한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섣부른 논의를 지양하고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완전하고도 안전한 치료 시스템 마련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2일 배포한 2차 성명에서는 ▲안전한 진료환경 구축과 ▲마음이 아픈 사람들이 편견과 차별없이 언제든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달라는 유가족의 뜻을 전하며 이를 고인의 유지로 받들겠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현 이사장(서울대 권준수 교수)과 차기 이사장(한양대 박용천 교수)를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학회 홈페이지에 추모 공간을 마련, 전 회원이 임 교수를 애도함과 동시안전하고 완전한 진료환경 구축을 위한 현황 조사 및 정책방안을 논의하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학회의 성명서 전문.
대한신경정신과의학회 애도성명 |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애도성명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권준수)는 2018년 12월 31일 발생한 고 임세원 교수 피살사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애도 성명을 발표하는 바입니다. 2018년 마지막 날 저녁에 날아온 청천벽력과 같은 비보에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모든 회원은 애통하고 비통한 감정과 흐르는 눈물을 주체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이러할 진데 남편과 아버지를 잃은 유족들의 심경을 어찌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또한 같은 공간에서 함께 일해 왔던 동료들의 마음은 어떠하겠습니까. 또한 고인이 돌보던 환자분들이 받을 심적 충격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고 임세원 교수를 잃고 크나 큰 슬픔에 잠겨있을 유족, 동료들과 그 고통을 함께 하고자 합니다. 고 임세원 교수는 그의 저서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그 자신이 통증으로 인한 우울증의 고통을 경험한 치유자로서, 본인에게는 한없이 엄격하면서 질환으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을 돌보고 치료하고 그들의 회복을 함께 기뻐했던 훌륭한 의사이자 치유자였습니다. 고인은 또한 직장정신건강영역의 개척자였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한국형 표준자살예방프로그램 ‘보고 듣고 말하기’의 개발책임자로서 우리나라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던 우리 사회의 리더였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다시 한 번 고인과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를 드리는 바이며 별도의 추모과정을 통해 고인을 뜻을 애도하고 기억하는데 마땅한 일을 하겠습니다. 진료현장은 질병의 고통과 슬픔을 극복하는 아름다움이 넘치는 희망의 공간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재발과 회복의 반복을 일선에서 맞닥뜨려야 하는 치료현장은 결코 안락한 곳은 아닙니다. 의사에게 안전한 치료환경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환자에겐 지속적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는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의료 제도 하에서 이러한 사고의 위험은 온전히 정신과 의사와 치료 팀의 스텝들이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일은 정신과 환자를 위해 일하는 모든 이들이 겪을 수도 있는 비극이었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이러한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섣부른 논의를 지양하고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완전하고도 안전한 치료 시스템 마련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나갈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고인이 사망하기 보름 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린 글을 인용하며, 명복을 기원합니다.. 얼마 전 응급실에서 본 환자들의 이야기를 글로 쓰신 선생님이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긴박감과 피냄새의 생생함 그리고 참혹함이 주된 느낌이였으나 사실 참혹함이라면 정신 과도 만만치 않다. 각자 다른 이유로 자신의 삶의 가장 힘겨운 밑바닥에 처한 사람들이 한가득 입원해 있는 곳이 정신과 입원실이다. 고통은 주관적 경험이기에 모두가 가장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보다 객관적 상황에 처해 있는 관찰자 입장에서는 그중에서도 정말 너무 너무 어 려운, 그 분의 삶의 경험을 듣고 있는 것만으로도 참혹함이 느껴지는, 도저히 사실이라 고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그럴 때는 도대체 왜 이 분이 다른 의사들도 많은데 하필 내게 오셨는지 원망스러워지기 도 한다. 하지만 '이것이 나의 일이다'라고 스스로 되뇌이면서 그 분들과 힘겨운 치유의 여정을 함께 한다. 이렇게 유달리 기억에 남는 환자들은 퇴원하실때 내게 편지를 전하고 가는 경우가 많다. 그렇게 20년 동안 받은 편지들을 꼬박꼬박 모아 놓은 작은 상자가 어 느 새 가득 찼다. 그 분들은 내게 다시 살아갈 수 있는 도움을 받았다고 고마워하시고 나또한 그 분들에 게서 삶을 다시 배운다. 그리고 그 경험은 나의 전공의 선생님들에게 전수되어 더 많은 환자들의 삶을 돕게 될 것이다. 모두 부디 잘 지내시길 기원한다. 이번 주말엔 조금 더 큰, 좀 더 예쁜 상자를 사야겠다. (과연 예쁜 상자를 샀는지 모르겠습니다. 고인으로 인해 새로운 삶을 찾을 수도 있었던 여러 환자분들의 편지는 갈 곳을 잃었습니다) |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두 번째 애도성명 |
비보를 전해들은지 3일째입니다. 이 시간 현재 국과수에서 부검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너무나 슬픕니다. 그리고 이 슬픔은 조만간 화로 바뀔 것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라고 인간의 기본적 감정을 거스를 수는 없습니다. 다만 그 화의 에너지가 헛되이 사용되지 않고 고인의 유지를 이어갈 수 있는데 사용되어지기를 바랄 뿐입니다. 고인의 동생을 통해서 유족의 입장이 전달되었습니다. 첫째, 안전한 진료환경을 만들어주십시오. 둘째, 마음이 아픈 사람들이 편견과 차별없이 언제든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주십시오. 우리 유족은 이 두 가지가 고인의 유지라고 생각하며 선생님들께서 이를 위해 애써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고인의 유지를 이어나가기 위해 앞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이에 현 이사장(서울대 권준수 교수)과 차기 이사장(한양대 박용천 교수)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학회 홈페이지에 추모의 공간을 개설하여 전 회원이 임 교수를 애도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전하고 완전한 진료환경 구축을 위한 현황 조사 및 정책방안들을 논의하고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