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노인정책과 이재옹 과장이 노인전문약사의 제도화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다만 제도화에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약국 현장에서 선제적으로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어제(22일) 국회에서 열린 ‘초고령화 시대의 약국·약사의 역할’ 정책토론회에서 복지부 이재용 노인정책과장(사진)은 “처방약 복용율을 보면 상당수의 노인들이 5.3개 처방약을 복용하고 있고, 일반의약품까지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은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용 과장은 “약제비 38.7%정도를 노인이 사용하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노인들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노인분야전문의, 노인전문약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식약처에서 현재 노인 의약품 안전사용과 관련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노인들의 제대로 된 복용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라는 설명이다.
이 과장은 “그중에서도 치매나 독거노인, 요양시설 노인들은 공적인 돌봄이 필요한데, 이들은 약을 복용하는 비율도 훨씬 높고 평균 복용 약의 개수도 높다”며 “요양시설 노인 520명을 조사해보니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복용비율이 58%정도가 된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노인들에게 특화된 약료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특화 약료서비스로 부작용을 사전 예방하고,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과장은 “노인전문약사 제도가 필요하고, 약사 양성과정에서 교육과정에 편입도 필요하지만 이러한 제도화는 아마도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며 “때문에 먼저 현장에서라도 노인에 대한 상담 강화, 약료서비스를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노인들의 인지도를 높이거나, 노인복약수첩 등을 활용해 맞춤 복약관리를 하는 등 활동 성과들을 축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이 과장은 “현재 독거노인 24만명에게 생활관리사 1만여명이 매주 한번씩 방문하고, 두 세 번씩 전화를 하는 서비스가 있다”며 “이분들과 약물 부작용 복약관리 등을 협업해서 진행할 수도 있을 것 같고, 그렇게 되면 제도 필요성에 대한 성과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노인전문약사제도 도입 기관에 대해서는 병원과 지역약국에 일괄적으로 함께 운영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뿐만 아니라 지역 노인들에게 전부 혜택이 돌아가기 위해서는, 병원뿐만 아니라 약국의 약사들도 전문약사로서 운영을 해야 한다는 것.
신의철 교수는 “새로운 서비스가 필요하고, 이것들에 대해 대부분의 국민이 좋아할 것 같지만 비용의 문제가 있다”며 “약사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했을 때 과연 비용 지불을 할 수 있을 것을지 모르겠고, 제도적으로 공부하고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다는 생각”이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삼육대 양재욱 교수도 “노인 전문약사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실현해나가기 위해선 무엇을 연구해야 하고, 장애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을 구체화해야 한다”며 “또 현재 서울시약사회와 병원약사회가 노인전문약사제도를 따로 하고 있는데, 지금쯤은 대한약사회 아래 BPS제도처럼 모든 전문약사제도를 통합하는 체계적 제도 추진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