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이자 설문…3~6개월 약물·행동치료 병행해야
과민성 방광 환자들은 잦고 급박한 요의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화이자제약은 최근 서울지역 비뇨기과에 내원한 30~60대 과민성 방광 환자 104명(남 47명, 여 57명)을 대상으로 ‘과민성 방광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잦은 요의로 업무능률 저하, 밤새 절박한 요의로 인한 수면장애는 물론 외출이 힘들 정도로 일상생활에 제약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약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자각한 이후 평균 1년 이상 치료를 방치해 악화 및 만성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에 참여한 전체 과민성 방광 환자 중 77%가 직장이나 가사 일을 할 때 능률이 저하된다고 답했다. 특히 사회 활동이 왕성한 30~40대(30대 54%, 40대 57%) 환자들은 낮에 졸리거나 몽롱한 증상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 중 6명(59%)이 수면장애를 겪었으며 남성(64%)이 여성(54%)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환자의 27%가 여행 시 증상 때문에 주위 사람에게 불편을 줘 꺼려진다고 응답했으며 이외에도 모임에 참석하는 횟수가 줄어들거나 가족, 친구,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도 불편함을 호소해 사회 활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민성 방광으로 인한 외부 활동의 제약과 심리적인 부담은 여성에게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응답자의 37%가 심리적 부담감과 수치심을 느낀다고 답한 반면 남성은 11%가 답해, 여성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44%가 화장실 없는 곳에서의 활동을 부담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51%에서 남성은 15%에서 과민성 방광으로 인해 운동과 같은 신체적 활동을 자제하게 된다고 답변했다.
이러한 과민성 방광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의 가장 큰 이유는 자각 증상이 있음에도 적극적인 치료 의지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많은 환자들이 불편함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 자각 후 병원을 찾기까지 1년 이상 걸렸으며 평균 17개월이 소요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통상 3개월 정도의 단기 치료에서 약 30%는 치료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증상이 완화 됐기 때문’이 38%로 가장 많았고, ‘병원을 다녀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서’가 31%, ‘병원과의 거리가 멀어서’가 10%의 순서로 나타났다.
순천향대학교 비뇨기과 김영호 교수는 “많은 환자들이 과민성 방광을 가벼운 질환으로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가질 만큼 증상이 악화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도 약물치료의 단기적 치료 효과만을 기대해 어느 정도 증상이 나아지거나 단기간에 치료되지 않으면 치료를 중단하는 경향이 있다”며 “잘못된 배뇨습관이 굳어지면 재발이 많고 만성화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초기에 적어도 3~6개월 이상 약물요법과 행동요법을 병행해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그 후에도 장기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를 기획한 한국화이자제약 마케팅 이동수 전무는 “과민성 방광은 성인 인구의 6명 중 1명이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질환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이번 조사를 기획하게 됐다”며 “한국화이자제약은 앞으로도 과민성 방광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진단과 치료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2005 유럽 비뇨기 학회에서도 프랑스, 독일, 이태리, 스페인, 스웨덴, 영국의 6개국 40~64세 남녀 1천52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이 연구에서 과민성 방광이 구직이나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 증상이 주는 불편함과 고통을 조사했으며, 과민성 방광은환자들의 정서적 풍요, 일상생활, 가정과 직장에서의 생산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epi0212@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