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의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 또는 신약 후보물질이 해외에서도 가치를 인정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2015 BIO & MEDICAL KOREA Week를 계기로 복지부는 신약 개발 분야의 해외진출 성과를 분석한 결과 복지부 지원을 통해 국내 제약사들이 개발한 신약 또는 신약 후보물질이 해외에서 기술적·경제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규모 신약 기술 수출 실적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복지부 신약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개발된 신약 및 신약 후보물질로써 2013년부터 2015년 3월 현재까지 기술 수출된 사례는 총 15건, 이에 따른 기술료 수입은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10억9820만 달러(약 1조1914억 원 규모)에 달한다.
기술 수출에 성공한 15개 과제에 지원한 보건의료 R&D 예산은 총 178억 원이며, 2013년 이후 3년간 신약개발지원사업에 투입된 예산은 총 1825억 원이다.

대표적인 기술수출 사례로는 올해 1분기 중 신약개발 R&D 예산 지원을 받아 후속 개발된 국내 신약 후보물질 2건으로, 지난 2월에는 '시스템통합적항암신약개발사업단'과 한미약품이 공동 개발한 항암신약물질 '포지오티닙'이 미국의 항암제 개발 전문 제약사인 스펙트럼 파나수티컬즈에 기술 수출됐다.
또한 3월에는 한미약품이 미국의 다국적 제약사인 일라이릴리와 면역질환 표적치료제 라이선스 및 협력계약을 체결해 최대 6억9000만 달러 규모의 기술수출 성과를 달성한 바 있다.
보령제약이 개발한 고혈압치료제인 '카나브정'은 멕시코 등 중남미와 러시아에 이어 중국 시장에도 진출해 누적 기준 2억 달러 기술수출계약(2011년 이후 현재까지 5건)을 달성했다.
이밖에도 일양약품 놀텍정과 슈펙트, 안국약품 시네츄라, 제넥신의 자궁경부암치료제 후보물질 등의 수출 및 기술이전 성과가 있었으며,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단을 통해 선정된 큐리언트사의 다제내성결핵 치료제와 파멥신사의 뇌암 치료제도 각각 러시아와 중국으로 수출되는 성과를 거뒀다.
복지부는 신약개발이 성공 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평균 10~15년의 긴 개발 기간이 소요되며, 실패율이 높고 투자 회수 기간이 길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기술이전 성과는 매우 우수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보건의료 R&D는 1조 원 투자 시 3조 원 이상의 GDP 상승효과가 있어 투자효과가 타 R&D 분야보다 높기 때문에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보건의료 R&D를 지속가능한 신성장 분야로 인식해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우리나라 보건의료 R&D는 2013년 기준 국가 총 R&D의 7.1% 수준으로 미국 22.3%, 영국 17.4%보다 낮은 것은 물론, 신약개발 등에 투자되는 복지부 R&D 비중은 2.6%에 불과해 투자비율 확대를 전략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복지부 배병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신약개발 R&D 성과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는 이전 단계의 연구성과물이 다음 연구개발단계(TRL)로 연계돼 후속지원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보건의료 R&D 전략 지도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신약개발 R&D 협의체 등 범정부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부처간 정보 교류 및 성과 연계를 확대하고, 신약개발 R&D 투자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