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사회는 최근 연이어 상임이사회를 열고 박 회장에 대한 재신임과 형사고발에 대해 집행부 차원에서 형사고발에 따른 변호사 선임 등을 각출키로 하는 등 정공법을 선택했다.
박 회장을 비롯한 집행부측은 이번 사건이 의협 공금횡령사건과 연계돼 의료계 내부의 불신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시의사회 내부의 자정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박 회장은 상임이사회에서 "정당하고 합리적인 대응으로 이런 사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이번기회에 확실히 쐐기를 밖을 생각"임을 밝혔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료계의 심각한 불신임이 팽배해 질 것을 우려, 형사고발 사건에 대해 형사고발 취하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은 의료계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진 형사고발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의료계 전체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유로 들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 의사회장단들의 적극적인 중재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김주필 대의원은 박 회장의 사퇴와 특별감사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요구하는 등 이견이 엇갈리고 있어 사태수습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박 회장의 형사고발사건은 김익수 시의사회 대의원의장이 참고인 자격으로 검찰조사를 받는 등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